어떻게 보면 당연한 얘기입니다. 초기에 응축된 경험을 하게 되면, 그 경험이 폭발적인 성장을 견인한다는 의미이겠지요.

살아가는 데는 골고루 균형잡힌 시각과 경험이 필요할 겁니다. 그러니까 학교에서도 모든 과목을 골고루 가르치는 거겠지요.

거꾸로 이 1만 시간의 법칙과 비교해 보자면, 교과과정 외에 혼자서 관심사를 추구할 수 있는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주어져야 한다는 가설을 세우게 됩니다.

생계를 유지하는 시간 외에 자신의 관심사를 탐구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와 경제적 자유가 주어진다면, 세상은 좀 더 살만한 곳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 당장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내가 지금까지 만난 많은 성공한 사람들은 스스로 선택한 분야와 사랑에 빠진 후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했는지 이야기한다. 이 기간이 바로 원초적인 관심이 실제 실력으로 전환되는 시기이다. 맬컴 글래드웰 Malcolm Gladwell 은 «아웃라이어 Outliers»에서 곡을 작곡하든 테니스를 치든 높은 기술 수준에 도달하려면 1만 시간의 의도적인 연습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이른바 <1만 시간의 법칙>인데, 그는 소프트웨어 분야의 대표적 사례로 나를 꼽았다. 그의 법칙에 내 의견을 덧붙이자면, 처음에 5백 시간이라는 그 행운의 컴퓨터 무료 이용 기회가 없었더라면 다음 9천5백 시간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