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바쁜 한주를 맞이하기 전 일요일 밤.  잠자리에 들기에 앞서 심심파적삼아 그간 읽었던 '로마'라는 테마를 가지고 책을 모아보았다.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는 책좀 읽는 사람들치고 건성으로라도 읽어보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어떻게 보면 좀 딱딱한 기존의 역사로써의 로마이야기를 눈에, 그리고 마음에 편하게 들어오는 문체와 서술, 및 구성을 통하여 풀어낸 수작이다.  그녀의 책은 한국에 출판된 대부분의 것들을 모두 보았는데, '로마인 이야기'는 작가의 의도만큼이나 평생의 역작으로 손색이 없다.  '로마제국쇠망사'는 여기에 비하면 꼬장꼬장한 영국신사 '에드워드 기번'의 ethnic 내지는 시대적 배경만큼이나 구시대의 문체와 서술형식이라고 기억된다.  사실 내가 읽었던 판본은 대광서림의 판본이었는데, 영-한역이 아니라 영-일-한역이라고 의심될 만큼 문장이 어설픈 부분들이 있었다.  민음사의 새로운 판본은 이런 것들을 세심하게 배려했을 것이라 믿는다.  끝으로 이미지가 뜨지 않아 넣은 의미가 사실상 없는 세 번째 책은 유게 도루 라는 일본인의 '로마제국은 왜 멸망했는가'인데, 내용보다도 '로마제국쇠망사'를 사려던 나에게 "집에 있다"며 일단 확인해보자던 아버지가 염두에 두었던 책이 이것인 것이었음이 기억나서 추가했다.  내용은 그리 기억에 남지 않는다만, 조금은 구태의연한 로마제국의 멸망에 관한 의견종합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공화정 시대 로마가 지중해의 패권을 놓고 격돌했던, 둘중 하나는 필히 사라져야만 했었던 카르타고와의 2차 포에니 전쟁당시, 신생강국 로마를 멸망 직전까지 몰아갔었던 희대의 명장 한니발에 대한 이야기.  '로마인 이야기 2 - 한니발 전쟁'과 함께 읽으면 좋지 않을까?

 

 

 

 

 

 

 

 

 

 

 

 

 

 

대략 세 가지 번역본들이 존재하는데, 내가 읽은 것은 '김한영' 번역의 판본이고, 요즘의 대세는 '천병희'선생의 판본인듯.  그 밖의 것도 reference삼아 첨부했다.  '로마인 이야기 4/5 -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함께 읽으면 좋겠다.

 

이밖에도 알라딘 리스트에 상당히 많은 책이 나오지만, 내가 읽지 않았기에 넣지는 않았다.  끝으로 매우 뒷날, 동쪽으로 이사간 로마제국의 이야기를 첨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망 세트 3 : 25~36권 - 전12권
시바 료타로 지음, 박재희 엮음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최고의 이야기꾼들 중 하나로 꼽히는 시바 료타로의 소설 모음. 시대를 앞서간 사나이 `사카모토 료마`의 이야기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 시대에 뒤쳐지지 않는 삶을 생각하면서 다시 읽고 싶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망 세트 2 : 13~24권 - 전12권
요시카와 에이지 지음, 박재희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망 2부: 히데요시의 일대기, `검선일여` 일본 최고의 검객 무사시의 일대기; MISC한 닌자 이야기; 그리고 막부말, 동란이 시작되려는 시기의 이야기. 이렇게 네 가지 소설들을 모아놓은 시리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망 세트 1 : 1~12권 - 전12권 (무선) 대망
야마오카 소하치 지음, 박재희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다림의 사나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탄생부터 죽음까지의 일대기.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새내기들에게 특히 추천하고 싶은 책. 내가 가장 힘들었던 시기 살아남는 법과 마음의 안정을 주었던 책. 강력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처럼 주말.  새벽에 일어나서 신나게 운동을 하고 돌아오는 길.  개인적으로 일찍 일어나서 활동하는 것을 좋아한다.  어두운 이른 새벽에 gym에 가서 운동을 하면서 동이 트는 것을 바라보고, 나올때 즈음엔 이미 밝아진 아침의 하늘과 쌉쌀한 공기는 아무리 전날 우울한 기분이었다 할지라도 나의 마음을 알지못할 어떤 희망과 꿈으로 가득차게 하여주기에.

 

운전을 하면서 오다가 문득 든 생각이었다.  1997년부터 재벌기업들에 의해 일관적으로 추진되어 왔던 법무팀의 판검사 영입.  요즘도 러시라고 어디에선가 뉴스를 본 것 같은데.  생각해보면 좀 의문스럽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상식적으로 영리행위를 하는 회사가 필요로 하는 것은 민법 (civil law), 즉 민사소송, 계약, 상해, 보험, 노동, 기업법 등등의 다양한 분야의 민법을 총괄할 수 있고, 회사의 업무를 실제로 전담해주는 법무법인과 일종의 갑-을 관계에서 관리소통을 할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선진국의 경우 판검사출신보다는 대형로펌 출신의 고위경력 변호사들이 일종의 career change (격무와 좋은 페이 대신 약간 못한 대우라도 일의 양과 질은 비교할 수 없이 좋기에)로써 소위 in-house counsel의 자리로 특채되는 것이 보통이다.  물론 예외는 있는데, 정부고관이나 그밖의 행정관료출신을 선호하는 곳이 있으니 바로 로비회사들이다. 

 

일반적으로 판사는 10여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법조인들의 pool에서 임명되거나 선출되기에 종신직의 개념이 강하고, 검사들의 경우 일정한 소송 - 형사소송 - 의 경력을 쌓은 후 형사소송관련 전문법인으로 가거나 독립을 하는 것이 보통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대륙법 체계의 경우 내가 전문이 아니니까, 미국형에 국한된 예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런데,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왜 형사/형사소송, 즉 범죄에 관련된 법을 practice하던 사람들이 대기업의 법무팀이나 대형로펌으로 가는 것일까?  상법전문가가 아닌, 형사법전문가들이 말이다. 

 

What does that tell you?  오늘 던지게 되는 한마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