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현재의 세계는 농업기술의 발달로, 잦은 가뭄이나 혹서, 혹한과 같은 이상기후에도 불구하고 약 120억의 인구가 먹을 수 있는 양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러나 여전히 세계 인구의 반 이상이 굶주리고 죽어가고 있다.  책인 나온지 5년정도가 지났으니 지금은 아마도 더 심각할 것 같다.  금융자본과 초거대기업들의 세계지배가 점점 더 현실화 되고 있는 2011년이니 말이다.   

식량부족은 단순한 생산과 분배의 문제가 아닌, 복합적인 정치-경제-지정학적인 요소가 모두 섞여 있는데, 다른 부분은 몰라도 기업의 조작에 의한 가격 급등이나 급락은 큰 문제가 있다.  증권시장처럼 곡물시장도 결국 큰손이 지배하는 구조가 더욱 심화되고 있고, 이를 감추기 위하여 그럴듯한 사회학적-인구우생학적인 이론으로 이런 사실을 은폐하고 있는 거대자본의 투기에 아프리카를 비롯한 극빈국의 절대다수가 굶주림과 질병으로 죽어가고 있는 것인데, 마땅한 대책도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을 읽고나서 느낀 것은 역시 식량자급은 석유나 자원보다 훨씬 더 중요한 자주/자치국가로써의 문제라는 것.  우루과이 라운드에 관한 논쟁이 뜨겁던 지난 시절 벌써 근 20여년 전에 이를 인식하고 싸우던 신부님들과 농민들이 생각난다.  그때 분명히 쌀개방은 단순한 농산물 개방이나 경제논리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우리의 자주권과 생존권의 문제라고 했었는데, 거의 아무도 듣지 않았던 것도 기억한다.  그리고 21세기의 10분의 1을 지난 지금 우리는 정치, 경제, 국방, 농림 모두 상당부분 다른 나라, 정확하게는 거대자본에 예속되어 가고 있다.  

네슬레라는 회사로 상징되는 초국가거대자본의 횡포에 놀아나는 후진국들의 일이 남의 일 같지는 않은 것이, 2011년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아닐까?  후진국이 아닌 선진국들마저도 복합금융자본의 지배를 받고 있는 지금이니까.  브라질 같은 곳에서 벌어지는 소수의 부자거주지/빈민거주지의 경계도 그리 먼 미래의 다른 나라의 일이 아닐 것 같다.  이미 전국적으로 소위 "gated community"가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이니 말이다.  여기서 조금만 더 나아가면, 주변의 빈민촌화가 급격하게 진행된다면, 이런 "gated community"들은 돈을 더 들여서라도 무장경비를 고용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양극화는 정말로 심해질 것이다.   

우리는 어느 시기의 어떤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일까?  미래는 마냥 장미빛이라고 알고 있던 시절에 그리던 세상이 아닌 것은 확실한데, 현실적인 대안이 보이지 않는 것이 너무 마음을 힘들게 한다.  무엇인가 하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