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르미 그린 달빛 1 - 눈썹달
윤이수 지음, 김희경 그림 / 열림원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같은 시간 방영되는 드라마를 본방 사수 하느라 늘 재방으로만 챙겨보았던 드라마가 <구르미 그린 달빛>이었다. 처음에는 <보보경심_려>보다 더 기대하고 있어 본방사수하려 했었으나 원작 소설을 읽은 뒤 <보보경심>쪽으로 마음이 기울어져 버렸던 것. 깔끔하면서도 읽기 쉽게 번역되어진 원작소설 내용이 너무 매력적이어서 한국판과 비교해가며 보는 재미가 쏠쏠했던 탓이기도 했다.

<구르미 그린 달빛>의 대본은 훌륭했다. 주연배우들의 케미도 엄청났고 퓨전 사극이라는 틀 안에서 너무 사랑스러운 궁중 로맨스가 그려졌다. 하지만 '성균관 스캔들'에 열광했던 세대인지라 <구르미 그린 달빛>은 그저 예쁜 사극으로 그치고 말았다. 아쉽게도. 개인적으로는.

 

드라마가 끝난지 꽤 시간이 흐른 뒤 원작 소설을 다시 챙겨보면서 마지막권까지 다 읽고 나면 '다시보기'를 통해 드라마를 끊김없이 연방으로 챙겨볼까 ? 싶어지기도 했다. '난 놈 될 놈 할 놈' 이라고해서 삼놈이라 불리는 운종가 꽃도령은 얼굴이면 얼굴, 언변이면 언변, 글이면 글 도무지 못하는 것 없이 모두를 갖춘 녀석이었는데 실은 남장 여자였다. 그는.

라온이라는 예쁜 이름을 숨기고 '운종가 삼놈이'로 살고 있는 그에게 어느날 운명처럼 세자 이영이 찾아오고,,,망쳐버린 첫인상도 잠시!! 그들은 내시와 세자저하로 만나 달달한 갑질관계로 발전하기에 이르른다. 이런 갑질!! 이라면 세상 모든 여인들이 라온이가 되길 바라게 되어도 할 말 없다.

역사물 로맨스의 남주인공은 로맨스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 중 가장 실제와 다르다고는 하지만 착하고 친절하기 보단 까칠하면서도 따뜻해서 사랑받는 캐릭터가 바로 이영이다.

 

 '운명적인 첫만남','가혹한 시련','아름답고 낭만적인 러브신' ...리 마이클스가  <장르 글쓰기_로맨스>에서 언급한 스토리텔링 비법에 딱 맞아 떨어지는 소설이 <구르미 달빛>이었다. 거기에 역사적 고증과 부모대의 악연이 어우러져 흡사 조선 '로미오와 줄리엣' 같은 이영과 라온의 러브스토리는 1권에서 이미 아름답게 시작된 상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