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40년. 그 암울한 시대에 조선에서 태어나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여기며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다. 권비영 작가의 소설 <몽화>는 잔인하다거나 끔찍하게 묘사하진 않았지만 느낌은 충만하게 실려, 1940년대 세 소녀의 처지를 통탄하게 만들고 말았다.

 

<여명의 눈동자>를 봤을 때가 아주 어렸을 때였는데도 불구하고 주인공 여옥(?)이 시대적 삶에 등떠밀려 불행에 빠질때마다 가슴 아프곤 했었다. 소설 <몽화>속 소녀 셋 중 하나인 은화도 여옥의 삶을 살았다. '일본군 위안부'로 살다 목숨을 잃을 뻔했던 은화에게 조국의 해방은 인생의 해방이 되지 못했다. 나라를 팔아먹은 이들은 해방이 되어서도 잘먹고 잘 살았던 것과 달리 그들로 인해 인생을 지옥에 저당잡히며 살다 그 지옥 불구덩이에서 살아나왔지만 행복이 보장된 것은 아니었던 것이다.

 

그것은 영실도 마찬가지였다. 독립을 위해 가정보다는 국가를 택했던 아비는 일본탄광촌에서 생명의 불빛을 짓밟히고 있었고 아비를 찾아 만주로 떠난 어미의 소식은 알길이 없었다. 일본 장사치의 내연녀가 되어 그녀를 뒷바라지 하던 이모는 해방과 동시에 남자도 재산도 한줌 먼지처럼 다 날려 버렸고 이모덕에 일본에서 유학중이던 영실은 칠복과 함께 입국했지만 아비를 찾기 위해 일본으로 갈 틈만 노리며 집착에 가까운 밀항을 꿈꾸며 살고 있었다. 그 와중에 친일했던 아비 덕에 불란서 유학을 떠났던 정인은 암흑의 세월에서 비켜 자유로운 삶을 산 듯 했으나 결국 사랑하는 남자와 맺어지지 못한 채 아비가 정해준 혼처로 시집가게 된다. 시대도 암울했지만 무엇보다 세 여인 중 단 한 명도 자신의 의지대로 살 수 없었던 인생이라 답답하게 느껴지기까지 했다. 그래서 제목이 몽화인 것일까.

 

얼마전 보았던 <밀정>이라는 영화 속에서 끝까지 신념을 위해 투쟁하다 죽어간 연계순이라는 인물이 갑자기 떠올랐다. 목숨을 걸고 나라를 위해 투신하건 치열하게 삶을 살아내건 불행해질 수 밖에 없다면1940년대는 우리 역사 속 그 어느 시대보다 빛이 없는 어둠의 시대라 불러도 좋을 듯 하다. 왜 우리는 이 시대를 자세히 배울 수 없었을까. 역사 속 그 어느 시대보다 많은 울분을 토해내며 반성하고 다시는 이런 시대가 오지 않기 위해 방비해야할텐데......!500년 전, 1000년 전의 역사보다 생채기가 더 깊고 가까운 역사에 대해 우리부터라도 자세히 공부해야하지 않을까. 정말 희망의 빛은 없었을까. 역사교육의 시작은 가까운 과거로부터 거슬러 올라가야 바르지 않을까 싶어진다. <몽화>를 읽고나서 든 생각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