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제왕의 생애 (양장)
쑤퉁 지음, 문현선 옮김 / 아고라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대체 어느 나라  어느 시대의 왕인지 궁금해졌다. <나, 제왕의 생애> 속 왕은.

열네 살에 왕위에 오른 단백이라는 소년. 하지만 가상의 왕인듯 그가 어느 시대 몇대 왕인지는 끝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제왕'이라는 직책이 권력의 1인자라는 허울 좋은 편견은 벗어버리게 만들기 좋은 소설이었으며 '되고 싶어서 된 것'이 아니듯 '그만두고 싶다'고 그만 둘 수 있는 것도 아님을 실감케 만드는 소설이 바로 쑤퉁이 쓴  <나, 제왕의 생애>였다.

 

그래서였을까.

작가는 소설의 앞머리에 '역사소설로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당부를 덧붙여두었다. 구체적인 연대를 모호하게 한 대신 고증의 부담에서 벗어나 궁궝의 삶을 좀 더 풍요롭게 쓰고자 했을 작가의 당부에 유념하며 넘긴 첫장에서 마주친 것은 죽음이었다.

 

p11  부왕께서 승하하신 날 새벽에는 서리가 내렸고, 깨진 노른자 같은 태양은 ....

 

으로 시작되는 소설 속에서 공자였던 그는 아비를 미워했던 아들이었다. "...으니, 섭국의 재난이 닥치겠구나"를 입버릇처럼 말하는 소년은 소심한듯 하면서도 날카롭게 주변을 관찰하는 관찰자였다. 선왕의 유지를 거스르고 자신을 왕으로 선택했으나 사랑하지 않았던 할머님 황보부인의 말투와 옷차림, 맹목적인 애정의 관계는 아니었던 어머니 맹부인의 행동들,,,,궁중내 권력과 암투 그리고 여인들의 시기심과 질투에 이르기까지...그는 결코 둔한 남자는 아니었다. 하지만 용감하게 자신의 권리를 쟁취하는 남자도 아니었기에 <나, 제왕의 생애>는 절여놓은 숨죽은 배추를 바라보듯 관망하게 만든 소설이었다.

 

안타까움도 분노노 독자의 것이 아니었다. 감정이입이라는 '선택'대신 독자를 연극의 관객처럼 '몰입&관망'하게 만드는 방법을 택한 것은 작가의 계산에 의한 것이었을까. 앞서 읽었던 <측천무후>에서도 편안하게 읽혔던 필체는 번역자가 달라져도 동일했다. 이는 결국 작가의 문체라는 말인데, 단 두 권을 읽고서 한 작가의 모든 것을 파악했다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쑤퉁의 소설은 복잡한 것을 가장 쉽게 풀어내는 풀이법처럼 쓰여져 편하게 읽힌다. 그래서 작가의 다음 소설을 또 한 권 더 찾아볼까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