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좋은 친구를 만났습니다
송정림 지음, 원정민 그림 / 어린이나무생각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 자끄 상뻬의 동화책 중에 <얼굴 빨개지는 아이>라는 동화책이 있다.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만큼이나 좋아하는 책인데, 정말 나는 이해해주는 친구가 어떤 친구인지, 얼마나 편한 관계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는 이야기라서 읽을 때마다 가슴이 따뜻하게 데워지곤 했다. 어른인 내 책장 한 켠에 동화책이 여러 권 꽂혀 있는 이유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삭막한 세상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글안경 같은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방송작가인 송정림 작가는 라디오와 TV드라마를 집필하기 전 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고 한다. 예나 지금이나 어른들은 입버릇처럼 '요즘 애들~ 요즘 애들~'하며 혀를 끌끌 차지만, 선생님으로 재직했던 그녀에게 학생들이란 좋은 기억으로 남은 사람(?)들이었나보다. 그녀의 필체를 통해 그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이야기도 있었지만 그 중 가장 감동인 에피소드는 발걸음이 불편한 한 사람을 위해 횡단보도를 바삐 걷던 사람들이 그와 보폭을 맞추어 천천히 함께 건너주었다는 14페이지이야기였다. 사회생활은 그렇지 못할 때가 많다. 빨기 가기 위해 누군가를 제쳐야 할 때도 있고, 의도하진 않았지만 누군가를 밟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나도 모르는 사이 서운한 마음을 갖게 만들 때도 있다. 나보다 천천히 걸어가는 사람을 위하여 낼 짬 따위는 없어 보인다. 하지만 어렵지 않은 일임을 이야기는 시사하고 있었다. "한 사람이 먼저 하면 되는 거에요." 가 그 답이었다. 그러면 다른 사람들도 함께 그렇게 한다는 말. 그러면 세상 사람들이 함께 그렇게 한다는 말. 빨간 불로 바뀌었지만 보행자도 신호대기 중인 차에 탄 운전자들도 모두 기다려주었다. 묵묵히.

 

마음이 하는 일은 그에 그치지 않았다.

 

록펠러 재단을 설립한 미국의 대부호인 록펠러의 선행은 의사의 선고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암으로 인해 1년 밖에 살지 못한다는 말을 들은 그의 어머니는 "곧 세상을 떠날테니 마음껏 남을 돕도록 해라"라고 아들에게 말했고 그 아들은 아낌없이 나누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40년이나 더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그에게 봉사는 보약이었다.

 

건강을 잃어본 사람은 아프지 않은 몸의 소중함을 알고, 마음을 잃어본 사람은 평온에 대한 감사를 알듯이 사람에게 상처받은 사람 역시 사람으로 치유할 수 있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참 쉽지 않다. 그렇게 다시 사람을 믿게되기까지는. 그래서 아이들에게 그 두려움을 갖지 않게 하기 위해 <참 좋은 친구를 만났습니다>는 예방책이 되어 주었으면 좋겠다 싶어진다. 눈빛으로, 손짓으로, 표정으로,  그 마음을 전하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최근 개봉한 영화 제목처럼 <좋아해줘>라고 용기있게 말하는 사람이 되어 주기를...손가락으로 SNS를 누르기 앞서!!! 그런 마음으로 읽혀졌다. 이 동화 책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