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악마다
안창근 지음 / 창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쇄살인범을 연쇄살인범이 잡는다??

 

미국 드라마 < 덱스터 > 이야기? 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지 모르지만 이 이야기는 <사람이 악마다>라는 제목의 한국 소설 속 이야기다. 심지어 그 역시 경찰이다. 덱스터처럼 혈액 감정 전문 경찰이 아닌 전직 프로파일러 강민수. 그는 희대의 연쇄 살인범이라는 죄목으로 수감된 상태. 고요하게 모범수로 죄값을 치르고 있는 그를 세상 밖 연쇄살인범인 '유령'이 도발하기 시작했다.

 

 

p172   보기 싫어도 죽을 때까지 공생해야 하는 관계

 

 

제 1회 황금펜 영상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했던 <블랙>의 저자 안창근은 크라임 소설을 고르는 취향은 나와 비슷했다. 제프리 디버, 요 네스뵈 등 영미와 북유럽 작가들에게 매료되어 있다는 점에서...또한 그들의 치밀하면서도 전문적인 소재에 반해 있다는 점에서도...좋아하는 것이 비슷한 사람에 대한 호의적인 마음을 담아 읽기 시작한 <사람이 악마다>는 영상이 떠올려지기 보다는 도표를 자꾸 그리게 만든 소설이어서 특이했다.

 

미친 놈으로부터 날아온 살인 예고장을 두고 경찰은 고심에 고심을 거듭할 수 밖에 없었다. 누군가의 장난일 수도 있을 이 예고장이 다름아닌 지역이 젊음의 거리 홍대였기 때문. 하필 마이클 잭슨의 <스릴러> 플래시몹이 펼쳐질때 한 여성이 여기저기 칼에 찔린 채 살해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오페라의 유령과 흡사한 면이 많은 숫자 '5'에 집착하는 '유령'이라 불리는 연쇄살인범. 그는 왜 대체 강간당한 적 있는 여자들만 골라 살해하는 것일까.

 

친절한(?) 연쇄살인범이 키드(명탐정 코난에 등장)처럼 예고장을 보내지만 경찰 내에서는 그의 의중을 꼬집어낼 코난 같은 녀석이 없었다. 아니 그를 감옥안에 가두어 두고 있었다. 사실 그는 살인범일망정 연쇄살인범은 아니었는데도 불구하고. 한 사람을 죽이는 것과 여러 명을 죽이는 것의 차이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사실 적당한 답이 없다. 하지만 과실치사나 우발적 살인으로 조사할 수도 있는 사건을 두고 경찰들은 경찰인 그를 연쇄살인범으로 단죄했다.

 

한 때 최고의 프로파일러였던 강민수. 유령의 도발적 다잉메시지를 전하기에는 그의 전 여친이자 뛰어난 감을 지닌 후배 프로파일러인 노희진이 적절한 카드였다. 게다가 그녀 역시 과거 성범죄의 희생자 중 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범인에게 던져질 미끼로도 훌륭했으리라. 여기에 한 사람. 범인의 메시지를 글로 전하는 황기자까지 더해져 이야기는 흥미롭게 진행된다

 

다만...<사람이 악마다>라는 제목과 읽고 싶게 만드는 책의 표지에 비해 그 결말이 너무 선하게 결말지어진 것은 아닌지....아쉬움을 남기긴 했지만...이야기는 한 번 펼쳐 끝까지 읽을만큼의 가독성 강한 스토리로 독자를 마지막 무대까지 이끌기에 충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