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기경의 아들
에셀 릴리언 보이니치 지음, 김준수 옮김 / 마마미소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신은 죽었다

 

니체의 말이었던가. 이젠 누구의 말인지도 가물가물할만큼 여러 사람의 말과 글을 접하며 살았나보다 싶어져 마음 속으로 한탄이 저절로 생겨나는 가운데, 신을 부정하는 남자 주인공과 다시 한번 마주하고야 말았다. 당신은 또 왜?

 

명작 <가시나무새>를 읽은 것은 중학교 무렵. 사랑의 본질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첫사랑에 대한 아련한 향수 따위도 없었으면서 그저 그들의 사랑이 애닲기만 했더랬다. 소녀시절에 읽었던 소설 속 신부님은 온건한 사제이자 한 여인을 사랑했던 남자였을 뿐이어서 신부님이 왜이래? 라는 생각보다는 결혼이라는 것이 반드시 나와 맞는 사람과의 결합인 것은 아니구나라는 허무함을 미리 맛보게 한 작품이었다. 가시나무새는. 불륜이라도 좋으니 성직자의 굴레를 벗어던지고 사랑 앞에 당당하고 운명 앞에 아름답기를 기도했으나.....작가의 의도는 달랐다. 문학이지 로맨스 소설이 아니었던 작품은 둘의 사랑을 해피엔딩으로 받아주지 않았다.

 

p373  진실을 말해 달라는 겁니까?

 

진실. 과연 밝혀지는 쪽이 좋을까. 살면서 자주 되묻곤 하는 말인데, 모든 것이 투명해야만 한다고 믿었던 그 철부지 시절을 지나 사회라는 곳에 발 디디고 보니, 모든 진실의 얼굴이 아름답지만은 않았다. 때로는 추악한 얼굴로 웃고 서 있던 진실의 이면도 보았기에 이 소설에서 밝히고자 하는 혹은 궁금해했던 진실은 차라리 알려지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것을....! 이라는 안타까움운 느낌마저 든다. 출생의 비밀이라....만약 10대나 20대에 내게 출생의 비밀이 있었다면 충격받았을지 모르지만 지금 나이에 출생의 비밀 따위가 밝혀진다고 해서 그닥 충격 받을 것 같지는 않다. 마찬가지로 아서의 친부에 대한 진실이 한참 후인 불혹이나 나이 50쯤에 밝혀졌다면 이렇게 방황하지 않아도 되었을텐데...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할 필요가 없었을지도 모르는데....싶어지니 살짝 작가가 원망스러워지기도 했다. 하지만 그래야 작품의 갈등이 커지고 사건의 배경이 생성되니 작가로서는 탁월한 선택이었을지도 모른다.

 

작품은 1830년~40년대 이탈리아 민족통일운동 시절 정치적 비밀결사 <청년이탈리아당>의 활동을 배경으로 젊은이들의 사랑과 배신 그리고 종교 그리고 출생의 비밀이 한데 엮어 한 편의 대서사시같은 소설 한 권으로 완성되었다. 겉만 봐서는 1830년대의 영국 청년의 모습보다는 16세기 초상화 속 이탈리아인처럼 여리여리하게 생긴 청년 아서. 고해성사 이후 배신자로 낙인 찍혔고 사랑한 여인 젬마에게 따귀까지 맞은 것으로도 모자라 그토록 존경하던 몬타넬리 신부가 자신의 아버지임을 알게 된다. 부유한 집안의 배다른 형제로 자라왔던 그가 갯플라이로 거친 삶을 살다 총살이 되기까지의 그 험난했던 삶보다 그 마음속에 품고 살았을 상처가 더 크게 보여 나는 이 소설을 읽는 내내 가슴 속에 추를 달고 읽는 것처럼 무거움을 느껴야했다.

 

영상으로 보았다면 어떤 느낌이었을까. 50여개 언어로 번역 출판되었다는 소설은 희곡,연극,발레,오페라 등으로 각색되었다고 하는데 단 한 편도 본 적이 없어서 도리어 궁금해졌다. 서울나들이 갈때 혹시 올려진 연극이나 공연이 있다면 보고 돌아오면 좋겠다 싶어졌다. 이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