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 - 2015년 제1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근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 11회 세계문학상 대상작의 작품은 고양이 집사들에겐 깜짝 놀라고도 남을만한 제목을 달고 세상에 나왔다.

<고양이를 잡아 먹은 오리>라니. 오리가 진짜 고양이를??? 대체 어떤 내용이길래. 1억원 고료 소설의 내용은 그 상금과 상관없이 제목만으로도 호기심을 뒤흔들만큼 충격적이었는데 의외로 그 첫문당은 담담하게 그리고 평이하게 시작된다.

 

p7 불광천에는 오리가 산다

 

로 시작해서 바로 다음 문장이 '돈이 없다'이다. 삼단논법에 따라 그리하여 그는 돈을 벌기 위해 오리를? 이 아니라 아무 상관 없는 이 두 문장이 합쳐져서 그의 새로운 인생이 시작되는 이야기다. 2012년 8월 통장엔 1764원 밖에 없던 시절, 월세조차 내지 못해 마지막 통첩을 받아야 했던 33세의 남자는 일당 5만원짜리 일거리를 잡기 위해 해치아파트 1305호 노인을 만나러 집을 나섰다.

 

p14 오로지 오리만. 되도록 선명하게. 얼굴을 똑똑히 알아볼 수 있도록

 

찍어 오는 것이 그의 임무. 노인이 기르던 고양이 호순이를 불광천 수많은 오리 중 한마리가 홀랑 잡아 먹어버렸단다. 그것도 노인이 보는 눈 앞에서. 그 원수의 얼굴을 잊지 못해 오리를 잡고야 말겠다는 노인은 그가 하루 종일 찍어오는 오리들의 사진을 보며 범인 색출에 나섰다. 아불싸. 혼자가 아니었다. 챙이 넓은 모자를 쓰고 있던 여자도 노인에게 고용되어 함께 사진을 찍고 있었던 것이다. 형편에 쪼들려가며 소설을 쓰던 남자와 증권회사에서 사무직으로 일하다 주식으로 전재산을 다 날려 버린 여자는 매일매일 불광천에 나와 오리들의 얼굴을 요리조리 살펴가며 부지런히 사진을 찍어댔다. 하지만 그놈이 그놈 같고 저놈도 이놈같은 얼굴 속에서 그때 그 오리를 찾는 일이란 바늘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낙타를 찾는 일과 같았다. 그래서 그들은 노인을 위해 호순이와 똑같은 고양이를 찾기 시작했다. 죽었다는 것을 확인하지 못한 바에야 살아있는 것으로 둔갑시킨다면 노인이 이 소모적인 일들을 다 그만 둘 것만 같았기 때문이다. 거기에 노인의 꼬맹이 손자가 동참했고 다른 마음이긴 했지만 노인의 아들도 동참했다. 손자와 달리 아들은 아비의 돈이 목적이었지만.

 

떵떵거릴만큼 잘 살던 노인은 아들로 인해 재산을 다 잃었다. 병으로 아내도 잃고 오리 때문에 애지중지하던 고양이도 잃었다. 말년운이 이토록 박복한 노인에게도 볕뜰날이 오려는지 핏방울 하나 섞이지 않은 두 남녀와 가족인 손자가 그를 걱정하며 그를 위한 연극에 나섰던 것이다. 그들은 동물병원, 보호소, 인터넷 카페 등을 뒤져서 호순이와 똑같은 고양이를 찾아내고 돈에 눈이 먼 아들을 시켜 오리 한마리를 찾아냈다. 그리고 노인 앞에 그들을 들이밀었다. 제발 그가 그만두어주기를 기대하면서.

 

하지만 노인은 꿀 먹은 벙어리 마냥 아무 말이 없다. 그저 오리와 고양이만 쳐댜볼 뿐. 그리고 그는 우문현답을 솔로몬 왕처럼 내렸다. "고양이가 오리를 잡아먹는지, 오리가 고양이를 잡아먹는지, 둘 중 하나로 결판이 나야 나도 다음에 어떻게 할지 결정할 수 있겠다"라며. 둘을 그냥 지켜보기로 했단다. 이보다 현명한 답이 또 어디 있을까. 오리와 고양이는 현명하게도 서로의 영역을 존중하며 공존의 길을 찾았고 노인의 집에도 드디어 평화가 찾아왔다.

 

그런데 마지막에 남은 의문 하나. 정말 호순이는 오리에게 잡아 먹혔던 것일까? 세상에는 고양이를 잡아 먹는 오리도 있단 말인가? 이 의문은 대체 어디서 풀어야 한단 말인가. 동물농장에라도 제보해서 그 답을 얻어야 하는 것일까. 난감하네. 정말 난감하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