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위 - 꿈에서 달아나다
온다 리쿠 지음, 양윤옥 옮김 / 노블마인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꿈자리가 사납다. 대박 꿈을 꿨다.

 

등등 꿈은 그 형체도 분명하지 않으면서 우리의 오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누가 정해준 것도 아닌데 그 꿈이 의도대로 꿔지는 것도 아닌데....꿈은 우리의 삶을 손에 쥐고 쥐락펴락한다. 무의식 깊숙이 생각한 바들이 꿈으로 이어지는 것일까. 하지만 같은 꿈을 동시에, 그것도 비슷한 시기에 많은 이들이 같이 꾸면 그 꿈도 특별해진다. 일본  전역이 학교에서 아이들은 집단으로 똑같은 꿈을 꾸기 시작했다. 그것도 악몽을....!

 

10년 전 형의 약혼자를 사랑했던 히로아키는 그녀로 인해 꿈 해석가가 되어 있다. 강산도 변한다는 10년의 세월, 많은 사람들과 폭발사고로 함께 사라져 시체조차 찾지 못했던 그녀가 10년 후 지금, 갑자기 나타나 그의 오늘을 흔들고 있다.

 

정말 꿈이 영상으로 기록되어진다면 신기한 일일까. 아님 귀찮은 일이 될까. 꿈을 기록하는 '몽찰'기술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소설은 몽찰을 분석하는 꿈해석사 히로아키가 사랑하는 여인 유이코를 찾아나서는 이야기로 시작된다.

 

p44 꿈은 외부에서 온다

 

영감이 찾아온다는 말처럼 꿈은 외부에서 오는 것일까. 그렇다면 히로아키의 생각처럼 무의식도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형체도 없는 무의식이 의지를 가져 우리의 꿈을 지배하고 있다면 우리는 무의식을 살아있는 것으로 봐야하는 것일까. 소설의 진행은 정말 단순했다. 그녀가 살아있을까? 그렇다면 어디서? 무엇을 하고? 라는 물음을 따라 가며 그 증거들을 찾아 헤매는 이야기지만 그 속에 담긴 생각들은 화두가 되어 머릿속에 잔류한다. 무의식, 몽찰 모두 평소에는 그저 당연한 것으로만 여겨졌던 소재였는데 작가 온다 리쿠의 [몽위]를 읽으면 그 당연한 것들이 특별하게 느껴져 자꾸 그 해답을 찾게 만든다. 작가가 가진 힘은 그런 것이었다. 언젠가 '황혼녘 백합의 뼈'의 리세 시리즈가 재미있다면 친구에게 권했을 때 그 친구가 했던 말처럼. '이 작가. 니가 왜 좋아하는지 알겠어. 별거 아닌 거 같은 걸로 정말 특별하게 잘 쓰네.'라고. 딱 맞는 말이었다. 그녀의 그 말은.

 

p45  꿈을 바꿀 수 있다면 좋을 텐데

 

고토 유이코는 나라 출신이다. 예지몽으로 유명세를 탔던 그녀가 어이없이 죽어 버렸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각양각색이었다. 그녀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는 사람도 있었던 반면, 제 죽음조차 예지하지 못했다며 그녀의 능력을 믿지 않게 되어 버린 사람에 이르기까지. 어린 시절부터 미래를 꿈꿔온 그녀는 악몽을 꿀때마다 그 미래를 바꿔볼 수 있지 않을까 궁리하곤 했는데 그래서인지 몽찰 기술이 개발되었을때 자발적으로 실험에 참여하며 전국적으로 그 이름이 유명해졌다. 십년 전 사고이후 이미 죽어버린 사람으로 낙인 찍힌 그녀가 꿈을 바꾸려고 하고 있는 것일까. 이미 다른 여자와 결혼해버린 형이 아닌 히로아키가 찾아헤맨 결과 그녀는 사고에서 살아남아 그 생명을 유지하고 있었다. 다만 상처가 회복되는데 걸린 시간보다 의식이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고 있을 뿐. 그녀는 깨어난 것일까. 결말을 두고 나는 [올드보이]의 그것처럼 섣불리 해피엔딩이라고 말하기 난감했는데, 그들이 진짜로 만난 것인지 그 만남이 그 혹은 그녀의 꿈 속에서 일어난 환상같은 일인지 판단이 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꿈을 바꿀 수 있다면 좋을 텐데....예전만큼 많은 꿈을 꾸진 않게 되었지만 가끔씩 꾸는 꿈도 악몽일 경우 나 역시 그 꿈을 바꾸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진다. 능력이 없는 사람의 꿈도 바뀌면 좋은 오늘을 불러올 수 있는 것일까. 정말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