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보검
김정현 지음 / 열림원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무덤 속에 두 남자의 시신이 누워 있다.

대체 무슨 사이일까. 형제? 가장 친한 벗? 혹시 연인사이? 순장된 군신관계?

꼬리에 꼬리를 물고 솟아나는 질문에 대한 해답은 바로 소설 [황금보검] 속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아버지]로 아버지 신드롬을 일으켰던 작가 김정현의 역사드라마는 그 먼 옛날 천년의 역사가 살아숨쉬는 신라 땅에서 시작된다.

 

금발머리의 왕자 씬스라로프는 약탈당한 롭성에서 벗어나 신라땅까지 흘러왔다. 가장 친한 마흔 아홉 명의 벗의 목숨을 담보로 하여. 새로울 신, 지킬 수, 망라할 라 그리하여 신수라라는 신라이름을 얻게 되지만 그는 왕국의 재건을 여전히 꿈꾸던 이였다. 그가 왕자였다는 증거는 가슴 속 자부심과 지니고 있던 황금보검 한 자루뿐. 백성도 잃고 제 나라도 잃은 망국의 왕자에게 신라땅은 새로이 살아나가야할 시작의 땅이었다.

 

지략과 미모가 뛰어난 상화 공주와 용맹한 무사 유강과 더불어 신라에서 새로운 인생을 살고자 했던 신수라는 그만 전장에서 목숨을 잃고 만다. 유강과 함께. 1500년 뒤에서야 경주시의 도로 공사로 인해 그들의 무덤이 파헤쳐졌는데, 후세인들은 이 무덤을 경구 계림로 14호묘로 칭했다. 이 무덤 속에서 진골 이상 계층임을 상징하는 비단과 뛰어난 세공의 황금 보검이 출토되었는데 이 사실이 소설의 모티브가 되었다.

 

달달한 로맨스를 기대했다면 어쩌면 실망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진하고 강한 로맨스로 읽기엔 [황금보검]은 스토리가 약했다. 하지만 새로운 역사에 목말라 있고 천년의 시간 속에서 사람들이 살았음을 눈과 귀과 손으로 느껴보고 싶다면 이 소설은 제격이다. 우리가 익숙한 조선의 역사적 인물을 벗어나 다소 나천 신라의 인물들을 만나보는 일도 꽤 신나는 일일테니까.

 

수천년의 역사 속에 분명 재미난 사건들과 인물들이 가득할 터인데, 우리는 신라의 역사에 대해 너무 무관심하게 등돌리며 살았지 않았나 싶다. 작가는 황금보검을 버무리는데 3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작심하고 썼다는 이 이야기의 말미에 그는 대마도를 정벌했더라면 좋았을 것을....이라는 아쉬움을 토로해놓았다. 정말 그랬다면 우리의 역사는 달라졌을까.

 

우리 땅을 지키기 위해 저 먼 나라에서 온 이가 목숨까지 바쳤던 일은 분명 소설 속 일일지라도 감동적인 장면이 아닐 수 없었다. 가끔 잊곤 한다. 그 때도 사람들이 살았음을....지금처럼 길을 걷고 이웃과 수다를 떨고 하늘을 바라보며 허리를 뚝뚝 두드리던 고단한 삶을 살았을 민초들이. 그래서 더 궁금해진다. 역사 이야기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