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 번째 배심원
아시베 다쿠 지음, 김수현 옮김 / 디앤씨미디어(주)(D&C미디어) / 2014년 1월
평점 :
품절


특이한 이야기 한 편에 대한 소감을 서평을 통해 밝혀 보려 한다. 아시베 다쿠의 [열세 번째 배심원]은 미스터리 형식을 취하고 있는 법정 이야기이지만 실존 소설은 아니다. 일본은 현재 '배심원제도'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우리 나라는 ;국민참여재판'이라는 이름으로 그 발동을 걸어보곤 있지만 법적인 구속력은 제로인 상태다. 쓰여진 나라에서도 읽혀지는 나라에서도 생소한 배심원 제도에 그 기초를 두고 이 소설은 기술되어지도 있다.

 

미국  법정 드라마를 통해서나 봐왔던 이야기는 진실을 서두에 두고 시작한다. 범인을 알고 추리소설을 읽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칫 그 흥미나 속도감이 떨어져 가속력을 읽을 수도 있었지만 작가의 영리한 계산 아래 쓰여진 미스터리 소설은 결코 가독성이 떨어지지 않은 채 즐겁게 읽혔다.

 

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 에서 단 한 사람이 범인의 진실을 믿어주듯 다카마 요이치의 진실을 믿어주는 변호사 모리에 슌사쿠가 있고 분명 그 진실을 알고 있는 선배 후나이 신이 있지만 이야기는 묘하게만 흘러간다. 한순간에 '강간 가해자'가 되어 버린 아버지로 인해 법에 대한 불신을 안고 살던 요이치는 선배 후나이 신으로부터 이상한 제안을 받는다. "의도된 범죄"를 저질러서 일본 법정을 발칵 뒤집어 보자는 귀가 솔깃해지는 제안. 악마의 유혹을 받아들이는 순간, 그는 범인이 되고 그의 유전자와 혈액은 조작되어진다. 이 모든 일이 순리되고 풀려가면 좋겠지만 발목 잡히듯 사냥감이 되어 요이치는 어느새 자기 아버지와 같이 범인으로 몰려 버리게 된다.

 

누명사건은 진실이 가려진 채 실제 사건이 되어 요이치를 "나쁜놈"으로 만들어가고 의도된 범죄는 이제 법의 구멍을 세상에 알리기 위함인지 한 남자를 범인으로 만들기 위함인지 모호해지는 가운데 독자가 알고 있던 진실은 연극의 독백처럼 우리만 아는 진실이 되어 주인공을 옥죄어 나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밝혀지는 사건의 전말은 이 책을 끝까지 읽은 독자를 향한 달콤한 선물이 되어 우리의 마음을 청량감있게 씻어주었다. 진실을 알고 있지만 어느 쪽에 서든 우리는 중립을 지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물음만 남겨놓은 채 처음 읽는 작가의 책은 신선함을 남기며 내 손을 떠나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