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섬 - 상 - 멸망의 얼굴
배상열 지음 / 황금책방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삼국 통일을 이룬 신라의 소리 없는 혁명은 김춘추-김유신의 결합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이야기였다. 김춘추는 김유신의 작은 여동생을 두번째 아내로 맞고 김춘추는 자신의 어린 딸을 김유신에게 부인으로 주면서 혈명으로 맺어졌던 그들의 관계. 신라가 이렇게 삼국 통일의 퍼즐을 맞춰갈 무렵 고구려와 백제는 무엇을 했으며 일본과 중국의 정세는 어떠하였는지 재미나게 소설을 통해 볼 수 있는 역사소설이 바로 [고구려의 섬]이다. 제목처럼 이 이야기는 승자의 미소를 택하지 않고 패자의 눈물을 택했다. 신라가 아닌 고구려의 시점에서 각국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고구려에는 당시 연개소문이라는 호랑이가 땅을 지켜내고 있었다. 왕이 무능했던 그 시절, 국운을 지켜내야만 했던 신하의 욕심. 그는 확실하게 이기고 싶은 장수였다. 명림답부와 을지문덕에 의해 주창된 전략을 답습하는 것도 맘에 들지 않았고 이세민과의 전쟁에서 요동성을 함락당한 일도 그에게는 수모로 남았다. 고구려가 당과 전쟁 중일 무렵 일본은 내전의 승리를 자축하고 있었다. 가야의 후손들이 살던 그 곳에 백제의 피가 흘러들더니, 그 피를 이어받은 '소아'가문이 천황을 제치고 제집살림 살듯 일본을 주물러대고 있었다. 백제가 고구려와 당의 전쟁을 구경하는 사이 그 소홀한 틈을 타 일본 내에서는 소아가문을 전멸시켰던 것이다. 정세는 그렇게 흘러갔다.

 

7세기 중엽의 한반도는 평온한 땅이 아니었다. 동맹과 배신을 거듭하며 살아남은 자가 가장 강한 자임을 토로할 수 있는 곳이 바로 한반도 땅이었다. 중국과 일본의 정세에까지 영향을 주고 받던 그 땅에 고구려, 신라, 백제가 있었다. 그리고 삼국의 패권을 신라가 거머쥐기까지 고구려의 서슬 퍼런 기운은 이 땅에 내리녹아 있었던 것이다. 무엇이 가장 강국이었던 고구려를 이 땅에서 사라지게 만들었을까. 그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나는 한 권의 소설책을 펼쳐 들었고 그 속에서 쉽고 또 흥미롭게 역사를 읽어나갈 수 있었다. 아직 신녀 영랑과 연개소문의 서자 연우의 달달한 로맨스는 주무대에 오르지 못한 가운데 역사의 흐름만 읽고 1권을 접는다. 이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