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궁 -하 - 완결
김윤수 지음 / 다인북스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작은 보퉁이를 끌어안은 채, 궁을 들어서던 앳된 아이는 모진 풍파를 견뎌내야했다. 겨우내 추운 바람을 견딘 꽃나무가 봄에 아름다운 꽃을 틔우듯 소녀도 여인으로 성장하면서 세상의 모진 비바람을 견뎌내야만 했던 것이다. 한 남자를 사랑한 대가는 컸다. 먼저 원했던 사랑은 아니었으나 평생의 지인을 운명처럼 만난 전향은 연화당에 머물면서 왕의 여인으로 살아냈다. 아들을 빼앗기고 보쌈을 당하기도 했으며 억울한 모함도 받아야했지만 이 모든 것들이 지아비의 사랑을 얻어내는 과정이었고 그녀에게 주어진 운명이었다.

 

그녀의 정적이었던 희숙당 역시 그러한 여인이었다. 왕의 여인은 모두 불행하였던 것일까. 한 남자를 두고 여러 여자와 경쟁을 해야만했으니 당연한 일이겠지만 여인으로서 가장 영화로운 자리에 있으면서 가장 가슴앓이를 해야하는 자리에 있었으니 그 사랑이 머물고 있다고는 하나 마음 한구석은 시릴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희숙당은 친정의 힘이 강력한 가문의 여식이었다. 그런 그녀가 옹주하나만 놓고 왕의 등만 바라봐야했으니....그 와중에 시중의 한량이 접근하여 남녀의 진정한 사랑법을 알게 하였으니 목숨까지 건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수순이었을 것이고 스물 아홉이란 아까운 나이에 아이를 낳다 죽은 그녀는 죽기 전에 진정한 사랑을 찾았으니 독수공방하고 아이까지 낳을 수 없었던 중전보다는 행복한 삶을 살다간 생이 아닐까 싶어진다.

 

그 옛날, 보았던 한 영화가 떠올려졌다. 이보다 불행한 이야기였으나 나라가 다르고 삶의 시절이 다르다고는 하나 여인들의 삶은 오십보백보였다. <홍등> 속 여인들도 궁중의 여인네들과 삶이 그닥 다르지 않았다. 높디 높은 늙은 부자의 울타리 안에서 한 남자의 관심에 목매다가 외로움을 다른 이에게 품어 목숨을 잃게 되거나 질투로 인해 남은 삶을 미친 상태로 보내야만 하는.....그러면서도 또 다른 여인에게 남편을 내어주어야 하는 인생.

 

물론 <후궁>은 행복한 결말로 완결지어졌다. 연산군의 역사를 차용했다고는 하나 우리가 모르던 해피엔딩의 결말을 가져다주었고 행복한 결말이라 마음도 푸근해졌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왠지 아쉬움이 남는다. 세월이 흘러서야 깨닫게 되는 것들이 있듯 두 권을 다 읽고 나서야 깨달아지는 사실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 아쉬움을 마음에 담아 작가의 차기작을 찾아 채워보려 한다. 다음 작품도 기대해도 좋을 듯 싶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