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터스 블랙 로맨스 클럽
리사 프라이스 지음, 박효정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웰빙 프랑스 영화 한편이 계속 영화 프로그램에 소개되면서 관심을 받았다. 상위 1%의 장애인인 남자와 하위 1%의 건강하고 즐겁게 사는 가난한 남자의 별난 우정과 동거가 시작되면서 벌어지는 헤프닝들이 쉽게 풀려지며 재미와 대중성과 작품성의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쾌거를 이룩해 냈다.

 

좋은 영화가 재미있기까지 하니 얼마나 좋은 일인지.....!

 

그렇게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영화가 있는 반면 가진 자가 없는 자의 것을 빼앗으며 미래의 싹을 잘라내는 소모적인 내용으로 가득한 이야기도 있다. 리사 프라이스의 [스타터스]처럼.

 

역사속에서 이룬 남자들은 불로장생을 꿈꿔왔다. 진시황이 그러했듯이. 욕망의 노인들이 역사 속에서 걸어나와 소설로 기어들어가면 스타터스에서처럼 돈으로 젊음을 사려할 것이다. 하지만 20대,30대가 사라진 소설 속 현재 속에서 10대의 싹을 싹둑 자르는 이같은 행위는 미래를 망치는 어른들의 망각놀이에 지나지 않는다. 중간 연련이 사라진 현재. 노인과 10대만 있는데 그들을 잘 건사할 생각을 하지 않고 도리어 그들의 젊음을 망가뜨리다니.....! 한 세대를 잘 살아낸 어른으로서 할 행동이 아닌 것이다.

 

스타터스는 그런 막장속에서 돈 많은 엔더들에게 젊음을 렌탈하는 10대의 철없는 방황기를, 어쩔 수 없이 내어놓아야하는 가난함을 직시하게 만든다. 우리네 현실과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나이를 떠나 가난한 자의 것을 착복하는 부유함이란 어떤 명분을 갖다 대어도 허울 좋은 거짓일 뿐이다.

 

스타터스는 그것을 바라보게 만든다. 약간 시시하게 종결지어지는 디스토피아의 가까운 미래는 그래서 희망적이기보다는 맹물처럼 시시하게 느껴진다. 무언가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려면 단호하게 칼을 대는 선택이 필요하지 않았을까. 작가는 날카로운 칼을 쥐고 맹맹한 요리를 내어놓은 요리사의 그것마냥 우리를 허무하게 만든다. 한참 재미를 기대했다가 거품이 꺼지는 느낌이랄까.

 

기대가 큰 만큼 실망도 컸던 작품이 스타터스였지만 읽고 후회하는 편이 읽지 않고 왈가왈부하는 것보단 현명한 판단이었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