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1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인규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고등학생들은 한때 슈베르트의 곡을 듣고 [송어]가 아닌 [파리바게트 주제곡] 이라고 답안작성을 하기도 했으며 초등학생들은 광화문 앞에 서 있는 장군상을 [이순신 장군]이 아닌 [메가패스 장군]이라고 쓰기도 해 이슈화 된 적이 있다. 광고효과인 동시에 연상효과인 이 웃지못한 소동에 웃어야할지 심각해져야할지 어른으로써 판단하기 참 애매한 순간이었는데, [노인과 바다] 역시 내게 그러했다.

 

[데미안]처럼 그 문장감이 주는 무게감이 진중해 참 어렵게만 느껴졌던 헤밍웨이의 명작이 CF한편으로 웃긴 모습부터 떠올려져버렸던 것이다. "니들이 게맛을 알아?"라는 카피가 먼저 떠올려져 웃음을 참을 수 없게 되었으니 이 책이야말로 내겐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으로 남아버린 셈이었다.

 

조금쯤은 웃음으로 희화화 되어버린 명작의 긍정적인 방향은 예전만큼 무겁게 느껴지진 않아 쉽게 접근하게 되었다는 것이고 또 하나 나이가 들어 세상의 풍파를 겪고 읽게 된 문장들은 그 한 줄, 한 줄이 노인이 타고 있는 바다의 리듬이 되어 내 인생 리듬과 함께 출렁이게 되었다는 거다.

 

노인이 고기를 잡으러 나간 바다가 인생이라면 그가 타고 있는 물살은 잔잔하거나 그렇지 못하거나 간에 우리네 인생의 굴곡이며 월척의 즐거움도 있지만 그 결말에서 보여지는 새옹지마적 스토리텔링 역시 받아들여야만 하는 인생이라는 것을 헤밍웨이는 알고 쓰지 않았을까.

 

나는 일년에 한번씩 [데미안]을 꺼내 다시 읽는다. 처음 읽기 시작했을때가 열두살이었는데 주변에서는 모두 "니가 읽기엔 너무 어렵다"고 만류했는데 오히려 그들의 말들에 오기가 생겨 바닥바닥 우겨 서평을 남겨놓았더랬다. 인정하긴 싫지만 그들이 옳았다. 나는 이해할 수 없었으니까. 그리고 매년 다시 꺼내 읽고 서평을 남겨놓으면서 매년 달라지는 서평들이 점점 알차지고 깊이있는 눈으로 작품을 바라보고 있음이 느껴지고 있는 것처럼 그보다는 자주 꺼내 읽진 못해도 [노인과 바다] 역시 서평을 남기며 읽었더라면 좋았을텐데....라는 아쉬움이 이제와 생겨버렸다. 이년에 혹은 삼년에 한번씩 잊을만 하면 꺼내보면서도 이 작품에 대해서만큼은 내 느낌을 담아놓을 생각을 하지 못했으니...!

 

인생의 황혼기, 근사한 타운하우스에 앉아 낡은 책을 주름진 손가락에 끼고 읽게 된다면 [노인과 바다]는 내게 무엇을 속삭여줄까. 아직은 그만큼 나이들진 못했기에 지금의 내게 책은 속삭인다. "정말 노인이 단순히 고기를 낚기 위해 바다로 나갔을까?"라고. 고기의 상징성은 무엇이냐고.

 

아마 노인이 바다로 나가는 이유는 살아있다는 존재의 증명일 것이다. 인간은 홀로인 고독한 존재이기에 멕시코 만류에서 오롯이 혼자 고기를 잡는 노인이 낚시대를 드리운 채 기다리는 지루한 움직임들은 더이상 지루한 문장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근육이 되고 조직이 되어 순간 들고 있는 것이 책이 아니라 낚시대인양 착각하게 만들만큼 동일시하며 읽게 만드는 힘 또한 세월이었다.

 

이만큼 세월이 흘러 읽었기에 내게 문장과 문장은 느리고 지루한 나열이 아니라 깊이 이해하고 공감하며 종국엔 눈물짓게 만드는 카타르시스를 선사하고 말았다. 명작이 왜 명작인지 절실히 깨닫게 만드는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30대에 읽는 이 작품은 내게 눈물 한 줄기를 남기며 마지막 장을 덮게 만든다. 책도 발효식품처럼 세월의 숙성 뒤에야 감동을 진하게 우려내어 독자의 심장으로 내던지나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