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사랑 - 심리학자 곽금주, 사랑을 묻고 사랑을 말하다
곽금주 지음 / 쌤앤파커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역시 읽고나니 더 목마르다. 이렇게 책으로 읽기보다는 명강의라고 소문난 그녀의 강의를 직접 듣고 싶어지게 만든다. 정신과 의사의 사랑에 대한 정신감정적 책도 아니고 심리학자의 남자는 이렇고 여자는 이렇다 식의 책도 아니어서 [도대체 사랑]은 읽는 내내 좀 색다르게 읽혀졌다. 심리학자이자 교수인 그녀가 말하는 사랑이야기는 자신의 이야기로부터 시작되는데 어린시절 이른 결혼으로 인해 남편과 성격을 조율하며 살아온 세월부터 상담사례까지 곁들여져 읽는 이로 하여금 동질감을 이끌어낸다.

 

도대체 사랑. 이것은 무엇일까.

 

평생을 가도 서로 닿을 수 없을 것만 같은 남자와 여자가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야할 인생이라는 무대 위에 잘 올라갔다가 잘 내려오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을 유념해야할지 생각하게 만든다.

 

가끔 우리는 연애를 하거나 사회 생활을 하면서 이런 생각들을 할 때가 있을 것이다.

 

'왜 상대방이 상처 받는 것을 알면서도 이렇게 이기적인 행동을 하는 걸까'

'사람들은 이럴 때 왜 이렇게 행동하는 걸까?'

 

라고.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실헌-분석-연구를 통한 결론 도출로 내어놓은 책이 바로 [도대체 사랑]이었다. 특히 남자가 "나중에 얘기하자", "그만하자", 그냥 바로 성의없이 '미안하다" 고 하는 이유가 그 순간을 회피하기 위해서라는 것은 연애를 해본 여자라면 누구나 알만한 일이지만 그 이유가 권태나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더 나은 관계를 바라지만 어찌할바를 몰라 그렇게 응답한다는 사실은 알지 못하는 여성들이 꽤 많을 것이다. 연애를 많이 해 본 친구도 연애를 단 한번만 해 본 친구도 내게 찾아와 줄줄 울며 하는 이야기들의 공통점을 나는 이렇게 책 속에서 발견해내곤 잠깐 웃음이 났다. 다들 비슷하구나...하고.

 

연애의 횟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연애를 해나가고 그 과정 속에서 무엇이 남겨졌는가에 따라 다음 연애를 위한 현명함을 남길 수 있는지 아닌지가 판가름 난다는 것을 나 역시도 연애를 해 보고야 알았으니 백문이 불여 일견이요, 그저 바라만 보는 것 보다는 한번 저질러 보고 실수를 통해 배워나가는 일이 성공에 이르는 지름길임을 연애에서도 증명된 셈인 것일까.

 

심리학자이자 인기강의의 교수님이 말하는 사랑은 작의적이거나 상처를 치유하는 위주의 사랑담이 아니라 보통의 연애를 통해 익히 우리가 알고 있던 의문들에 대한 답이 달려 있어 그저 편안하게 읽어나가기 좋았다. 가령 "이 남자 애인으로 좋을까?남편으로 좋을까?',"못생겨도 연애만 잘하는 여자, 예뻐도 연애 못하는 여자","왜 항상 똑같은 사랑만 하는 걸까?',"누구를 만나도 여자는 외롭다" 등등에 대한 연애시 가졌던 질문들에 대한 답을 나는 실패한 연애를 통해 얻어내고 지인들의 연애상담을 통해 얻어내고 이 책을 통해 적절한 단어들로 정리해 본다.

 

"올해엔 정말 안 헤어질 사람이랑 만나고 싶다"는 간절한 바램을 가진 친구를 위해 이 책을 선물해야겠다 싶어진다. 사랑도 책으로만 배울 수는 없지만 적어도 누군가를 위한 지침서가 이해를 돕는데 활용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나는 책으로 배워두는 사람에 대한 마음도 꽤 괜찮은 방법인 것 같이 느껴진다.

 

그저 책을 읽고나니, 그녀의 강의가 더 궁금해졌고 [흔들리는 20대]에 이어 30대,40대 에 대한 강의도 일반인들을 위해 열린강의형식을 띄게 된다면 좋겠다는 바램도 가져본다. 감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