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 - 한 권으로 읽는 도덕경과 한비자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은 그 땅의 넓이도 넓거니와 나라가 세워졌다가 없어지고 하는 일이 태반이라 그들의 역사를 순차적으로 다 기억해내는 것은 일반인들에겐 어려운 일이다. 어느 왕조의 어느 왕이 유명했다더라 정도만 알아도 중국 역사의 반은 꿰고 있는 거라고 내 친구는 우스갯소리로 말을 건네곤 하는데, 역사에 꽤 관심을 두고 있던 나 조차도 전공자가 아닌지라 대학교때 그들의 역사를 파보다가 그만 손을 들어버렸다. 무슨 왕도 그렇게 많고 영웅도 많으며 미녀도 많아 바람잘날 없는 나라인지. 중국은 그랬다.

 

하지만 묵과할 수 없는 사실은 중국이 우리에게 사상적으로든 정치적으로든 어떤 이유에서건 간에 영향을 준 나라이며 그들의 사상이 조선에 들어와 유교 사상으로 나라의 국교사상이 된 것 또한 간과할 수만은 없는 사실이다.

 

흔히 중국의 사상가 하면 공자,맹자,를 떠올리기 쉽지만 책의 저자는 어째선지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고 충고한다. 노자라하면 들어본 바 있는 사상가지만 한비라니….나의 지식의 옅음이 부끄러워 얼른 한비에 대해 검색에 들어갔는데 그들은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를 대표하는 사상가였다. 공자나 맹자가 아닌 노자와 한비의 어떤 점 때문에 현대의 우리는 그들에게 불멸의 지혜를 빌려야 하는 것일까.

 

읽어보니 그들은 겉치레를 중요시 여기지 않고 도리어 실용적 가치를 높이 사 스승인 순자의 유가사상의 폐해를 짚어냈으며 또 현명하고 지혜로운 군주는 교활한 신하가 감히 그를 속일 수 없게 하며 우둔한 신하가 그 관직에서 버티지 못하게 한다는 명언을 남겼다.

 

절대자가 되면 초심을 읽고 아첨하는 사람들을 가까이 두기 마련인데 그를 경계로 삼기에 이만큼 좋은 문장을 나는 알지 못한다.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에게 보내고 싶을 만큼 좋은 문장들이 많은 책이지만 그 말 속에 인생의 현명한 처세가 담겨 있어 읽는 이의 구미를 더 끌어당긴다.

 

예를 들어 요즘 한참 재미나게 보56고 있는 [인수대비]에서 단종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누가 자신의 방패막이 되어주는 신하인지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해 목숨을 잃어야 했다. 하지만 비슷한 나이인 열 셋에 즉위한 진의 영정이나 강희대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했지만 그들의 나라를 굳건히 하고 강성하게 만든 군주로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단종과 그들의 차이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SNS의 발달로 인해 투표율이 높아지고 있다지만 여전히 국민들에게 정치란 드라마보다 더 흥미가 없는 대상이다. [도덕경]에서 천하에 금지하는 것이 많을수록 백성은 더 가난해지고 백성이 편리한 도구를 많이 가질수록 나라는 더욱 어지러워진다. 기술이 발달할수록 편리한 도구도 더 많아지고 법령이 많아질수록 도둑도 더 많아진다고 했는데, 세월이 한참이나 흐른 지금 현실을 보아도 그들의 사상은 마치 예언자의 예언처럼 딱 들어맞아가고 있지 않은가 싶어 등골이 오싹해지기도 했다.

 

삶은 더 편리해졋으나 시민들의 불만은 더 높아만지고 기술의 발달 뒤엔 흉악범죄가 기승을 부리니 현대인의 삶은 옛사람들의 삶보다 고달프기 그지 없는 것도 사실이다. 그 옛날로 돌아가 살아보면 어떻겠는가 라고 누가 묻는다면 편리함에 길들여진 게으른 인간이기에 거절하겠지만 옛 사상가들과 달밝은 밤에 술한잔 나누면서 그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지혜를 들을 수 있는 한 순간이 주어진다면 나는 그 순간을 결코 놓치지 않을 것 같다.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는 읽을 거리가 많아 어쩌면 어렵게 느껴질지도 모르겠으나 찬찬히 시간을 들여 읽어나가다보면 그 말의 한뜻한뜻이 결코 어려운 구석이 없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많은 이들이, 특히 리더들에게 익히면 좋을 책 같아 최근 관리자가 된 지인을 수소문해보고 있다. 도움이 될 이에게 읽은 책을 선물해주고 싶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