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운 영혼들의 우체국 - 시대와 소통하는 작가 26인과의 대담
정진희 지음 / 서영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을 만나는 일이 가장 스트레스라는 사람이 있다. 반면에 사람을 만나는 일이 신나 업으로 삼은 사람들도 있다. 세상은 참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같아 그 구경만으로도 어쩔때는 신기할 때가 있다. 사람들은 그걸 알고 살아가는 걸까.

 

저자는 일반인도 아닌 작가들을 만나며 그들과의 인터뷰를 담아 책을 펴냈다. 자신만의 가치관이 뚜렷하고 세상을 바라고는 시각이 남다른 그들을 만나는 일은 매일매일을 비슷비슷한 사람이 되고자 틀에 자신을 맞춰가는 사람들과의 만남과는 또 다른 것이리라.

 

작가 26인과의 대담은 그렇게 남다른 느낌으로 와닿았다. 인터뷰를 한 첫만남에서부터 저자와 친구가 되었다는 소설가 권지예부터 김주영, 김탁환, 조정래에 이르기가지 심혈을 기울인 문장문장이 실은 말로 내뱉어졌던 것이라고 생각하니 문득 그들이 나누는 이야기를 육성으로 듣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이런 말들을 내뱉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과연 어떤 색일까. 두꺼울까, 얇을까, 높을까, 낮을까.

 

알길 없지만 문득 호기심이 생겨 자꾸만 상상하게 만드는 [외로운 영혼들의 우체국]은 제목이 왜 이렇게 붙여졌나 싶을만큼 가득차 있는 책이라 생각보다 짧은 시간내에 재미나게 읽어냈다.

 

사람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기어이 사람이다

 

라는 시인 고은의 "서시"의 한 대목을 발견하고서는 묵은 화두의 해답을 찾아내기도 했고,

 

시를 이해한다는 것은 인간의 비극을 이해한다는 것

 

이라는 정호승 시인의 말 속에서는 정말 그러한가 라는 또 다른 화두를 남길 수 있어 좋았다.

 

특히 소설로서는 그 무게감이 너무 무겁고 홍어의 탁한 향마냥 진해 매번 읽으면서도 딱히 내 취향은 아니다 싶었던 소설가인 김주영은 인터뷰를 통해 반대로 좋아지게 된 경우였다. 그는

 

판소리도 "한"이 있어야 감동을 주득 문학도 "한"이 있는 사람이 더 잘 할 수 있다고 봐

그게 글을 쓰게 만드는 거지. 한풀이야 한풀이

 

라고 말했는데 이 말에 걸맞는 몇몇 작가들이 바로 떠올려지는 걸 보면 그의 말은 진리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나 역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있는 사람이어서 사람들이 궁금하고 사람들로 인해 상처받고 사람들로 인해 희망을 품기도 한다. 매순간이 그랬다. 이 책속의 그들 역시 그러하다는 것을 새삼 깨달으면서 다른 삶을 살아가고 다른 생각을 품고 있어도 사람은 역시 사람이구나 싶어진다. 저자가 말하려고 했던 것도 이런 것들이었을까. 아니면 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