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먹고살기 - 경제학자 우석훈의 한국 문화산업 대해부
우석훈 지음, 김태권 그림 / 반비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0,70년대엔 산업사회가 도래되면서 잘먹고 잘사는 것에 중점을 두던 시대라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적었던 시대였다. 90년대까지 서비스는 그래서 공짜라는 이미지가 강했으며 손님은 왕인 시대였다면 2000년대 이후부터 고객중심, 니즈채움, 친구처럼 가족처럼 편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대에 이르렀다. 사람에 대한 친절과 고객의 니즈가 변하고 있는 시대인만큼 사회에 제공되는 문화도 다양해지고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데, 그래서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이미 문화콘텐츠로 먹고사는 시대까지 흘러왔다. 문화로 먹고 산다. 서비스가 공짜로 통했던 시대엔 상상하지 못했을 이야기였을 것이다.

 

대중적이든, 학술적이든, 정책적이든 문화로 먹고살 수 있다는 것은 아주 매혹적인 유혹의 삶처럼 느껴진다. 특히 경제학자의 눈을 통해 문화가 숫자로 읽힐 수도 있다는 발상의 전환은 놀라기 충분한 것이었는데, 이전 세헤라자데 스토리텔링으로 문화콘텐츠를 마케팅에 접목했던 사람의 예처럼 신선하면서도 색달랐다.

 

문화파생력은 이미 많은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입증되어지고 있다. 드라마 한 편이 가져다준 글로벌한 흡인력이나 음악이 세계의 눈을 대한민국으로 어떻게 향하게 만들었는지 등은 체감화될만큼 우리 가까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다. 어느 배우는 예술이란 가장 절실할때 가장 잘 행해진다라는 명언을 남겼지만 배고픈 예술가가 점점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램이 자꾸만 생긴다. 이처럼 문화 가까이에 마케팅을 두고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는 이상 더이상 배고픈 예술가의 길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대세를 따라 여러 방면으로 파생효과가 큰 문화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일도 의미있는 일처럼 느껴진다.

 

은장도 하나도 문화 콘텐츠가 되고 펭귄 캐릭터 하나가 세계 아이들의 대통령으로 군림하는 세상에 와 있다. 무릎팍도사를 보며 많은 생각들이 교차되었다. 누군가는 괴로워하며 귀를 자르며 예술의 혼을 불사르는가 하면 또 다른 세상의 누군가는 그저 즐기는 마음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선택해 그 속에서 부를 창출하고 문화의 턱을 높이는 일을 선택했다. 어느쪽이 옳다가 아닌 것이다. 그저 살아가는 시대에 맞춰 자신이 옳다 생각하는 쪽을 선택하면 되는 일인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난 이상 긍정의 생각들이 머릿속에서 자라는 것을 막을 방도가 없었다. 즐거운 마음 속에서 좀 더 멋진 문화 콘텐츠들이 생겨나 그들을 즐길 수 있는 나날들을 꿈꾸고 있다. 즐거운 마음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