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아직, 어른이 되려면 멀었다 - 청춘의 밤을 꿈을 사랑을 이야기하다
강세형 지음 / 김영사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은 조금씩 가르쳐준다.

 

는 말이 참 좋았다. 살아보면 이 말이 얼마나 좋은지, 오징어를 곱씹어 짠물을 빼먹는 맛처럼 그 진맛이 우려내진다. [나는 아직, 어른이 되려면 멀었다]의 작가 강세형은 라디오 작가라고 했다. 그인지, 그녀인지 아직은 모른채 책을 손에 쥐었지만 이내 그녀가 내뱉는 일상의 생각들이 주저리주저리 나와 같은 공감 주파수를 타고 내 온몸에 실렸고, 여러 번의 실망과 여러 번의 상처자리가 똑같아 매만져주고 싶어졌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 얼굴도 모르고 나이도 모르지만 이렇게 공감이 형성되어 궁금해지는 사람들이 저자뿐만 아니라 인생에 있어서도 여럿 있었다. 하지만 그들이 누군지 전혀 몰라도 그들의 생각을 공감하는 것만으로도 나는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었고 만족스러웠다.

 

화려하지 않아도 특별하지 않아도 아름다운 청춘의 이야기. 20대보다 30,40대가 더 공감할 이 이야기 속에는 사실 여러 양념들이 숨겨져 있다.

 

인연이라면, 만나야 할 사람이라면 ,

어떡해서든지 만나지게 되는 법.

 

이라는 문장이 주는 묘한 안도감과 위로는 인생을 막 시작한 나이때의 사람들보단 인생에서 실패나 이별 혹은 기대감을 가져보았던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문장일 것이다. 이런 삶의 연륜이 묻어나는 문장들이 명언이 되고 좌우명이 되고 기본 생각이 되어 사념 속에 남겨진다.

 

나도 역시 책 제목처럼 아직 멀었는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어른이 되고 싶지 않은 어른 중 하나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회학적으로 나이가 어떻든 간에 나의 인생 나이테는 언제나 싱싱하고 푸르다라는 점을 내 스스로 잊고 살지만 않는다면 나는 행복한 사람으로 남겨질 수 있지 않을까.

 

설렘과 두근거림을 발견한 오늘, 나는 어제 있었던 좋은 기대감이 오늘로 이어지기를 기대해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