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의 열쇠
타티아나 드 로즈네 지음, 이은선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타티아나 드 로즈네의 [사라의 열쇠]는 개인적인 사정과 맞물려 참 가슴 아프게 읽어야 했던 소설이다. 홀로코스트에 대한 여러 시각에서의 소설이 존재해왔지만 [사라의 열쇠]는 그 어떤 내용의 소설과도 다르게 전개된다.

누구의 잘못일까? 홀로 나올 수 없는 공간에 4살배기를 숨겨둔 어린 누나의 잘못일까? 아니면 소녀를 빠른 시간 돌아올 수 없게 만든 프랑스 경찰과 나치의 잘못일까? 누구의 잘못이든 4살배기 소년은 자신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한 공간에서 공포와 굶주림 속에서 죽어갔다. 누나가 살육의 현장에서 탈출하는 동안.

[안네의 일기]가 전쟁 중 숨어살던 일가의 일상을 그려내 안타깝게 한 작품이라면 허구임에도 불구하고 [사라의 열쇠]는 안네의 일기만큼이나 사실적으로 다가와 가슴을 절절하게 만든다. 죽어가는 아이보다 돌아가지 못해 안달이 난 소녀의 심정이 되기도 하고 어차피 여기있으나 거기 있으나 죽는 것은 매한가지임을 알기에 삶의 의지를 버렸던 부모의 심정이 되어가기도 하면서 사람이 상황에 따라 어떻게 피폐해질 수 있는 존재인지 확인하게 만들고 이웃에 대한 배신도 서슴치 않게 만드는지 무서울 정도로 적나라하게 파헤친다. 

1942년 7월의 파리는 파리의 역사상 인정하고 싶지 않은 시간이었을 것이다. 나치가 주동이 된 것이 아닌 프랑스 경찰이 자발적으로 그것도 시키지도 않은 어린아이들까지 포함해서 독일에 프랑스 주둔 유태인들을 잡아넘긴 벨디브 사건이 발발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2002년이 되어 프랑스 인과 결혼한 미국인 여기자 줄리아가 불과 60년 전의 일을 파헤치면서 자신의 시댁은 물론 파리에 얽힌 치욕의 역사를 한꺼풀씩 벗겨내는 감동소설이 바로 [사라의 열쇠]인 것이다.

풀어가는 열쇠구멍은 줄리아의 이야기로 열쇠를 간직한 사라는 열쇠의 모양으로 헷갈리지 않게 나누어 편집되어 있는 것 또한 읽는 내내 문학동네의 편집의 세심함에 감탄하게 만들었으며 마음에서 잊혀지지 않을 이 소설을 사람들이 소설이 아닌 진실로 기억해주기를 기도하게 만든다. 

우리의 역사는 아니지만 일제치하 우리의 치욕의 시간과 참 많이 닮아 있는 그들의 역사를 통해 그 속에서 분명 한순간은 살아있었던 그 사람들을 우리는 함께 기억해야할 것이다. 작가의 취지는 그것이 아니었을까. 남은 사람들의 사명은 그 사람들을 기억하는 것. 그들의 슬픔을 공유하는 것. 바로 그것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