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야기 하나로 세상을 희롱한 조선의 책 읽어주는 남자
이화경 지음 / 뿔(웅진)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전기수, 책 읽어주는 남자에 대한 이야기를 처음 접했던 것은 드라마였다. [별순검]의 열혈시청자여서 단 한 회도 빠짐없이 즐겨보았는데, 그 중 어느 이야기 속에 책을 읽어주는 남자라는 직업이 등장해서 신기했었다. 책을 읽어주다니....!!

"저는 검은 놈입니다"했던 김흑이 죽음으로써 소설은 끝을 맺지만 이야기를 통해 시대상을 알아가는 재미는 결코 끝맺음되지 않았다. 조선시대엔 양반과 왕족만이 사람답게 살아갈 권리를 가진 척박한 시대처럼 여겨지는데, 승려나 글쟁이들조차 자신의 제 할 일을 함부로 다 하지 못하던 시대였으니 더이상 말해 무엇하겠는가. 근질근질했을 글쟁이들의 손끝은 아마 구전이라는 이야기라도 이야기를 풀고 싶지 않았을까. 그래서 구전문학이 승세였을까? 찾아보면 그것도 그렇지가 못했다. 

누구보다 다양성을 인정하고 기회를 허락했을 법한 왕 정조가 문체반정이라는 문화운동을 일으키며 글의 다양한 장르를 저해했다는 것도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연암 박지원의 글조차 세상에서 사라질뻔 했고 "이야기"를 상품으로 사고파는 행위가 반역과 연결되었다는 당시의 시대상황과 "스토리텔링 마케팅"이 붐을 이루는 요즘과 비교하자니 그 차이가 너무나 어마어마하게 느껴졌다. 살 수 있는 시대를 고르라면 연암은 조선을 버리고 대한민국을 택하지 않았을까. 

사람사는데 이야기는 빠질 수 없는 것이다. 게다가 이를 물어날으는 사람들의 입은 또 얼마나 가벼운가. 
모든 이야기가 교훈적일 수만은 없으며 가볍다고 해서 퇴폐적일 수도 없는 것임을 사람들이 점차 알아가는 것은 인간의 진화와 맞물려가는 행위일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을 튼 소설은 정조 왕을 나랏님으로 두고 이옥이라는 실존 인물을 이결로 둔갑시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조선의 이야기 왕이 되고자 했던 김흑의 이야기 속엔 술막 주모의 사랑이야기, 선비 이결의 글쟁이로서 불운했던 삶, 임경업 장군의 죽음에 울컥해 낫으로 사람을 찌를 민초 이야기, 고자 남편으로 인해 수절과부 인생을 살아야했던 양반집 부녀자의 숨겨둔 비밀, 장애를 가진 처녀와 김흑의 사랑이야기 등등 이야기 꾼들의 입담을 거쳐 나오는 세상 얘기는 그 재미가 끝날 줄을 모른다. 천일야화를 읽을때처럼 밤새 읽으며 그 속의 재미뿐만 아니라 담긴 시대상과 그럴 수 밖에 없었을 상황에 안타까움이 더해졌다. 

작가 최명희의 [혼불]계승작이라고 칭찬을 받은 [꾼]은 이야기 하나로 세상을 희롱한 조선의 책 읽어주는 남자의 사연인 동시에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역사가 담겨 그 재미를 한 층 더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