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2 - 미천왕, 다가오는 전쟁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열 명을 베는 장수를 가리켜 맹장이라 하고 백 명을 베는 장수를 가리켜 신장이라 합니다. 
주군은 천 명을 베는 장수이기에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습니다. 
역사가 주군의 이름을 지어줄 것입니다.

라니. 이런 멋진 대사를 또 어느 역사 소설에서 발견할 수 있을까.  남녀간의 러브스토리나 작의적인 이야기의 중독이 없어도 [고구려]는 충분히 재미있다.  남자들의 의리, 전쟁, 신념 등을 모티브로 한 소설은 남자들이 주로 선호하는 이야기인데도 불구하고 작가 김진명의 이야기는 나이불문, 성별불문하고 탐독하게 만든다. 

우리 젊은이들이 [삼국지]를 읽기 전에 [고구려]를 먼저 알기 바란다는 작가의 바램은 충분히 이루어질 목표처럼 보인다. 출간된지 얼마 되지 않아 [고구려]는 입소문을 타고 너도 나도 읽는 책이 되어 있으니까. 물론 연재되면서도 그 내용에 대해 입소문이 나긴 했었다. 하지만 역시 책은 종이재질로 눈팅하고 싶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독자들의 소문은 봄바람을 타고 거세게 번져가고 있는 듯 하다. 

1권에서 나라에서 내쳐져 도망자가 되어야 했던 완손 을불은 2권에 이르러 자신의 사람들을 얻는다. 많은 소설과 드라마에서 "사람"을 가장 염두에 두라고 가르치지 않았던가. 그 유명한 미실조차 [선덕여왕]에서 사람을 얻는 일이 가장 우선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래서 [수호지]나 [삼국지]에서도 영웅의 주변엔 좋은 인재들이 너나없이 모여들곤 했다. 

고구려의 영웅 "을불"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힘으로 동지를 얻는 이가 아니었다. 의리로 마음으로 진심으로 제 사람들을 얻어나갔다. 
숙신의 사람들을 제사람으로 만들때도 그러했으며 숙신의 지도자 아달휼을 얻은 것도 결국엔 그의 진심이었다.  또한 1권에서 역신으로 비추어졌던 충신 창조리도 을불의 시대를 열기 위해 묵묵히 적진의 한 복판에서 시간을 벌고 세력을 키워나가고 있었던 것이다. 

을불의 이야기 사이사이엔 모용외 대 최비가 대결과 화합의 시간을 맞이했고 그 사이에 지혜로운 여인 아영이 영리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기도 했다. 어느 이야기도 재미를 잃지 않으면서 균형을 잡아가며 독자를 역사의 한 현장으로 데려가는 가운데 이제 이야기는 을불이 왕좌에 앉기 직전까지 몰아가고.....이쯤에서 3권을 기다리며 애타던 독자들에게 3권이 주어지면 목마른 자가 우물을 찾듯 허겁지겁 3권까지 단숨에 읽게 되는 것은 마법이 아니라 재미 때문이다. 내게 그랬다. 작가 김진명의 [고구려] 2권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