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1 - 미천왕, 도망자 을불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고조선과 고구려의 역사는 중국에, 백제와 근대사는 일본에 강탈당하고 있지만 심장 속 울분의 온도만 높아갈 뿐 아무것도 할 수 없고 하고도 있지 않아 자책만 키워나가는 동안 소설가 김진명의 역사 소설들은 불붙은 집에 기름 붓듯 그 온도를 높여나가게 만들곤 했다. 가슴이 먹먹하다 못해 타들어가는 듯한 느낌을 총맞듯 맞게 만드는 그의 작품들은 속도까지 빨라 언제나 다음 권을 손에 빠르게 쥐게 만들어왔다.  빨리 쓰는 작가의 글은 독자로 하여금 빠르게 읽게 만들었는데 작가의 집필 속도와 독자의 리딩 속도가 비례하는 것인지 [고구려]르르 소개하며 작가는 "큰 작품은 시간에서 나온다"라고 말한 바와 같이 나는 1권을 읽어내는데도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되었다. 

먼저 1권의 소제목인 "도망자 을불"에서 을불은 참 낯선 인물이었는데,  초등학교6년,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그리고 대학과 사회에서 읽어낸 역사책 어디에서도 들어본 적도 주목해 본 적도 없는 인물이라 당황스러웠고 안국군, 상부, 돌고 등등의 이름들조차 새카맣게 모르던 인물이라 역사앞에 미안함이 먼저 들고 말았다. 

"우리 젊은이들이 [삼국지]를 읽기 전에 [고구려]를 먼저 알기 바란다"라고 밝힌 작가의 말을 굳이 빌지 않았도 유비,관우, 장비,조조,제갈공명 등등의 남의 땅 영웅들의 이름은 낯익게 줄줄 꿰고 있는 우리가 을불, 돌고, 아달휼 같은 이름은 낯설게만 느껴야 하다니...비통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읽으면서 알게 된 을불은 고구려 15대 미천왕의 이름이고 소설은 15대 미천왕부터 20대 장수왕까지를 말하고자 하는 소설이었다. 을불이 살아남았기에 광개토대왕도 장수왕도 고구려의 이름을 중원에 널리 알릴 수 있었고 호랑이의 기상을 널리 알려 고구려라는 이름의 강직함으로 국가의 카리스마를 세울 수 있었다. 

서천왕의 죽음과 상부의 권좌등극, 안국군 숙청으로 인한 난세에 아버지 돌고의 희생으로 목숨을 건진 을불이 나라를 떠나 도망자의 신세가 되었지만 그의 운명을 향해 나아가는 그 첫권인 "도망자 을불"은 [천년의 금서]를 잇는 후속작으로 손색이 없는 역작이었다. 

언제나 원했고 지금도 원하는 강인한 나라 고구려. 이땅에 호랑이 기운과 함께 고구려만큼이나 강한 대한제국이 다시 한번 그 기상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게 되기를 강하게 꿈꿔보며 그 날을 준비할 새싹들에게 [고구려]가 문화영양제가 되길 기원하며 그 읽기에 동참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