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귀천 정사 화장 시리즈 1
렌조 미키히코 지음, 정미영 옮김 / 시공사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죽는 것도 생명이요, 죽지 못하는 것도 생명임을 알게 해 준 소설이 [회귀천 정사]였다. 
렌조 미키히코의 글은 처음 접해보게 되었는데, 다소 자극적이라 생각했던 제목과 달리 담긴 사연의 주인공들은 어딘지모르게 쓸쓸함이 덧입혀진 모습들이었다. 

"어디까지나 주인공은 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내겐 꽃보다는 죽일 수 밖에 없었고 죽을 수 밖에 없었으며 살아있게 된 사람들의 쓸쓸함이 먼저 눈에 들어와버렸다. 어딘지 모르게 우울함의 가면을 쓰고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들의 삶엔 밝음이란 태어나는 순간부터 없었는지, 아니면 그들이 살았던 다이쇼 시대 말기가 그토록 우울함을 이끌고 있던 시대였는지 살아보지 않아 알 순 없지만 1920년대의 일본을 나름대로 상상하게 만들어 버리는 소설의 힘에 눌려 내겐 다이쇼 시대에 대한 편견이 생겨버린 듯 싶어졌다. 

제 34회 일본추리 작가 협회상 단편부문 수상을 비롯해 많은 수상경력을 자랑하는 단편들이 실려 있는 이 소설은 사실 꽃을 모티브로 한 "화장 시리즈" 중 5편이 수록되어 있고 각각의 단편은 도덕적 관념을 떠나 강한 향수나 향취 강한 꽃의 향을 맡듯 도취되어 글을 읽게 만든다.  우울한 날씨가 펼쳐진 날의 오후쯤 햇살없는 대청마루에 앉아 책을 읽고 있다가 무언가 강한 향을 맡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져 읽어나가다보면 사람도 보이고 사건도 보이지만 슬프거나 잔인하거나 배신감이 들기보다는 그저 그들의 이갸기를 조용히 듣게 되고 마는 형국이랄까. 

다섯편의 이야기중 유독 기억에 남은 이야기는 두 편이었는데 과거 어머니가 살인을 저질렀던 것이 아닐까 라는 의구심에서 출발하여 추리해나가다가 자신이 누군지 발견하게 된 [흰연꽃 사찰]이나 연속살인의 살인범인 대필가 사내가 미국 드라마인 [덱스터]처럼 읽지도 쓰지도 못한 채 가족을 위해 몸을 던진 여인들의 미래를 위해 그 가족들을 살해한 이야기가 단긴 [등나무 향기]. 이렇게 두편이 강한 잔향을 남기며 기억속에 새겨졌다. 

시대가 이어져 있다는 것 외에도 두 편은 묘한 공통점을 지니는데, 누군가의 삶을 구하기 위해 누군가의 목숨을 앗는 일이 과연 옳은 일일까 를 고민하게 만들고 딜레마에 빠지게 만드는 이야기라는 동일점을 갖는 소설이었다. 

죽는 것도 생명이요, 죽지 못하는 것도 생명이라, 소설을 읽는 내내 이례적으로 메모하기보다는 느끼면서 이해해나가게 되었던 것 같다. 물론 이것도 다 읽고 나서야 깨닫게 된 사실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