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레시피 - CIA요리학교에서 만들어가는 달콤한
이준 지음 / 청어람메이트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일찍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흔히 신동이라 불리는 전문 분야의 천재들. 음악계, 무용계, 어학계를 지나 이젠 요리에서도 자신의 길을 먼저 찾아 그것으로만 달리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를 통해 일찍부터 각종 요리 자격증을 따고 대학전공을 선택해 세계로 나가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보면 한편으론 대견하고 다른 한편으론 부럽다. 학교 다닐 시절에 이렇게 다양화 되어 있는 선택의 길이 주어졌더라면 나논 오늘날 다른 일을 하고 있지 않을까 싶어서다. 

세계적으로 이름을 날리는 요리사들을 보면 하나같이 남자다. 왜 여자는 없을까? 싶지만 상상이상의 그 노동력에 질문은 입 속으로 다시 들어가 버린다. 어마어마한 노동력의 현장에서 살아남으며 발전에 발전을 거듭나며 오늘을 보내고 있을 그녀들도 세상 어딘가에 있겠지만. 그런 그녀들을 위해 잠시 화이팅을 보내며 그간 보고싶어 목매어 기다렸던 [뉴욕 레시피]를 구경해본다. 

"뉴욕"이라는 주방에서 자신의 꿈을 완성해나가는 젊은이 이준. 
그를 통해 프로덕션 주방이 무엇인지, 엑스턴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살아있는 뉴욕에서 그를 매혹시킨 것은 단연 "요리"였고 생동감 넘치는 거리는 그에게 요리를 향한 즐거운 무대이자 길이 되어주었다. 뉴욕에는 이방인이 없다는 표현에 걸맞는 인생을 살고 있는 그는 "스와니예 리" 라는 별명까지 얻어가며 즐기는 요리타임을 시작했다. 

유명해서 몇번쯤은 이름을 들어보았지만 솔직히 와닿지는 않았던 CIA에서 진행된 4개의 수업과 졸업후 취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엑스턴에 이르기까지...만들어진 요리사가 아닌 만들어가는 요리사의 모습을 보여주며 그저 맛나는 요리나 맛보고 맛집만 찾아다니기 바빴던 평범한 내게 요리사의 노력과 그들이 음식에 담는 철학을 생각하게 만든 책이 바로 이 책이었다. 이제부턴 하나의 요리를 맛보더라도 맛있다/맛없다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가게의 맛과 다른 점이나 요리사가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를 생각해보며 먹게 될 것만 같다. 예를 들어 햄버거나 돈가스도 이름만 같을 뿐 요리사에 따라 접시에 담기는 모습과 맛은 똑같은 것이 하나도 없으니까. 

저자의 요리에 대한 배우고자 하는 열정이 얼마나 대단했던지 그는 학교 수업을 병행하면서 먼 거리의 유명 레스토랑에 직접 찾아가 무보수로 주말마다 일할 것을 제안했다. 우리나라로 치면 얼씨구나 했을 일이겠지만 뉴욕의 쉐프들은 다른 모양이었다. 무보수로 일하겠다는 제안도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었는지 일하게 되었을때 그는 너무나 행복해했던 것이다. 

또 한가지 인상깊은 것은 레스토랑에서 일을 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그 레스토랑이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일하는 환경이 어떤지,셰프는 어떤지 알아보기 위해 하루 일해보는 제도를 스타지 stage라고 한다는데 이는 고용주에게만 타깃이 맞춰져 있고 면접시 고용인에게는 선택권이 주어지지 않는 우리네 면접과 차별지어진다는 점이다. 일하는 사람도 하루쯤은 일이 내게 맞는지 계속 일하고 싶은 공간인지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부러움이 생기는 순간이 아닐 수 없다. 

말도 낯설고 환경도 낯선 곳인 미국은 인종차별까지 심하다는데, 음식과 사람이 좋아 요리를 시작한 저자에게 뉴욕은 너무나 관대하게 열리는 곳만 같다. "준 기회는 네가 만든거야"라며 그의 능력을 인정해주는 상사도 만나고 그를 지지해주는 동료들도 만나 그저 요리에만 몰두하게 만들어준 행복한 환경 속에서 그는 멋진 요리사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었을 것이다. 

물론 먼 거리의 이동거리와 무보수에도 굴하지 않고 행복한 마음으로 성실한 자세로 임했던 그의 노력은 책의 곳곳에 드러나 있다. 징징대는 스타일이 아니어서 자신의 그런 노력을 과대포장하기 보다는 자신이 열심히 만든 요리를 소개하는 것으로 이야기의 팔할을 채우고 있는 모습또한 보기 좋았다. 

무엇보다 이 책을 구경하며 즐거웠던 부분은 "나는 이렇게 고생하며 성공했다"는 고생담이나 성공담으로 채워진 책이 아니라 "요리가 좋아서 시작했고 여전히 요리를 좋아하며 미래의 레스토랑 메뉴에 올릴 음식들을 상상하며 노력하고 있다"로 채워진 꿈의 레시피가 담긴 책이라 좋았다. 읽으면서도 행복하고 그의 요리를 맛보진 않았지만 언젠간 맛볼 수 있는 영광을 꿈꾸며 맛을 그려보는 것 또한 즐거운 일이었다. 

뉴욕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기회가 오픈되어 있는 곳이기에 그의 말처럼 이방인이 없는 도시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