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살이 - 하 미소년 시리즈 (미야베 월드)
미야베 미유키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살이와 가장 닮아 있어 좋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랬다. 미야베 미유키의 연작소설 [하루살이]는 전편 [얼간이]와 더불어 가장 인생과 닮아 있어 좋았다. 사람이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데는 범죄도 일어나고 오해도 빚게 되고 미움과 시기심, 질투,연민, 사랑, 집착도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로인해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을 헤이시로와 유미노스케가 풀어나가고 있긴 하지만 이들은 탐정이 아니다. 따라서 김전일이나 코난처럼 "범인은 이 안에-. 사건은 완벽히 끝났다."라고 말할 수 없다.

 

A의 이야기가 풀어지고 내일은 B의 이야기가 진행되어도 A의 삶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아주 똑똑한 소설의 전개방식 속에서 나는 삶을 배워나가고 있다. 또한 어제는 나의 이야기지만 오늘은 또 누군가에게 힘든 하루겠구나...라는 이해도 함께.

 

타고난 재주는 그 사람을 살리기도 하지만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다. 그래도 밥벌이가 될만한 재주를 타고난 자는 그것을 쉽게 포기하지 못한다.

 

라는 성찰은 이해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제 죽을 줄 알면서도 그림그리기를 포기하지 못했던 도둑의 일행이나 머리속에 도서관을 차린 듯 많은 기억을 담게 되는 어느 똑똑한 아이의 이야기, 경국지색처럼 아름다운 미색을 가졌으나 때때로 오줌싸개인 어린 사내 아이,아들을 버릴 수 밖에 없었던 어머니, 버려진 줄 알았으나 죽었다하고 죽은 줄 알았으나 살았다가 겨우 만나게 되자 제 눈 앞에서 시체로 발견된 어머니의 아들도 [하루살이] 안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이다.

 

재주가 사람을 살리거나 죽이기도 하지만 읽다보면 집착과 미움이 누군가를 죽이거나 살리기도 했다. 사람찾기 시스템이 발달하지 못한 시대라 죽었다하고 감춰진 사람들이 속속들이 나타나기도 했으며 반대로 사람하나 감추는 것은 일도 아닌 시대이기도 했다. 소설의 배경은 그러했다.

 

그래서 부자상인 소에몬은 본처의 눈을 피해 살해당할뻔했던 후처를 어린 아들과도 이별시키고 멀리 "귀신이 아이를 잡아가는 집"에 은둔하게 만든다. 또한 자신의 큰 아들이 바람핀 본처의 아들이며 둘째 아들이 자신의 핏줄임을 알면서도 입다물고 있고, 사랑하는 후처의 아들에게 어머니의 생사를 알리지 않은 채 저 멀리서 살아가는 것을 보고만 있다.

 

그런 사키치가 잡혀갔다. 세상에선 이미 죽었다고 밝혀진 자신의 친어미 아오이를 죽인 범인이 되어....사키치의 무죄를 입증하기 위해 헤이시로와 유미노스케가 사건을 파헤치기 시작하는데 그 과정에서 각각의 사연이 소개되었던 규베,오케이,오로쿠등이 등장한다.

 

결국 이 이야기의 결말을 위해 그들의 이야기가 소개되었던 것일까. 죽은 아오이에게 은혜를 입었던 오로쿠. 마지막에 실린 "하루살이"에서 잠깐 등장하지만 오로쿠는 마님이 죽은 다음에야 그녀의 사연을 전해 듣는다. 그리고 자신에게 도움을 주었던 고마움과 더불어 아들과 헤어져 가슴 아프게 살았던 마님의 과거가 불쌍해진다.

 

일일이 서술되지 않아도 오로쿠의 사연을 아는 독자는 그녀의 마음이 되어 아오이를 바라보게 된다. 사람을 이해하는 마음을 얻게 만드는 것. 미미여사가 [하루살이]를 통해 이루어낸 가장 큰 효과가 아닐까.

 

타인의 일을 함부로 떠드는 것은 그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들 각각의 사연을 알게 되면 우리는 누구도 타인에 대해 함부로 왈가왈부 할 수 없게 된다. 안다는 것과 모른다는 것은 이토록 많은 차이가 있고 또한 무서운 일이다. 마지막 "하루살이"를 읽으며 애잔한 마음을 가지게 된 것은 이전에 작가가 깔아놓은 사연의 밑밥때문임을 읽는 순간 깨닫게 되었다. 마지막 에피소드에 와서야....겨우...

 

에도 시대를 배경으로 한 시대물을 읽으면서도 상상하기에 전혀 무리가 없었던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다. 인간에 대한 이해가 먼저였기에 다른 것들은 그저 묻혀서 진행되어버렸다. 자연스럽게.

 

흔히 옛 사람들은 순진했을 것이다. 단순했을 것이다. 한다. 하지만 그 순박한 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살던 시절에도 범죄가 있었고 소문도 있었다. 하루하루 먹고 사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고 타인에 대해 알게 되면 이전의 독설에도 불구하고 인간적인 이해와 더불어 함께 눈물짓게 된다는 것도 변함이 없다.

 

결국 작가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그것이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