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브란트 블루 2
외르크 카스트너 지음, 이수영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이제 당신이 죽을 차례다~!!!

라니 이런 섬찟한 문구와 함께 독자에게 손가락질을 보내는 소설이 바로 외르크 카스트너의 [렘브란트 블루]다. 1669년, 연도부터 불길한 이 해에 암스테르담에서 화가 렘브란트풍의 그림이 살인도구로 쓰여지면서 사건은 시작되었다. 살인도구라고 하지만 실제로 그림으로 살해한 것은 아니었고 그림에 칠해진 푸른 색에 비밀이 숨겨져 있는 듯 했다. 

화가이자 감옥지기인 코르넬리스는 친구인 오셀이 그 대상이 되어 처형당하자 비밀을 밝히기 위해 연쇄살인극에 뛰어들었는데 자칫 그 역시 살해당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색달라 재미있었던 1권을 뒤로 하고 흥미진진함 속에서 펼쳐진 2권에서는 페스트로 아들을 잃고 방황하던 화가 렘브란트를 속여 죽음의 그림을 그리게 만든 판 젤덴 일당을 소탕하는 코르넬리스의 모험으로 일색되어져 있다. 

왕의 색이자 신의 색이며 악마의 색으로도 불리는 파란색으로 죽음의 그림을 그리고 있던 렘브란트는 자신이 속았다는 것을 알게 되지만 구해지고 얼마 뒤 세상을 하직했고 그로부터 딸의 보호를 명받은 코르넬리스는 렘브란트의 딸 코르넬리아와 결혼하면서 소설은 막을 내린다. 

렘브란트 하르멘스존 판 린이 얼마나 떠들썩한 사건에 연루되고 불행한 삶을 살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그가 남긴 그림들은 여전히 아름다움으로 남아 우리 곁에 살아있다. 
이 위대한 화가가 마지막에 자신의 자화상을 태우며 자책하는 순간에는 이 세상 모든 아버지들의 절망이 한데 뭉쳐서 폭발하는 듯 했고 미스테리 역시 그 순간 한낱 먼지가 되어 흩어져 버렸다. 자식을 먼저 보낸 망한의 세월 속에서 상식적으로는 불가능한 일들을 꿈꾸며 그림을 그려온 노 화백의 회한이 느껴지는 순간이었기 때문이다. 

렘브란트는 그림 이외에도 많은 이야기 거리를 가진 사람이었던 것 같다. 그래서 작가들이 그의 일생을 탐구하며 소설의 인물로 발굴해내는 것이 아닐까. 이미 죽은 화가에 대한 무한한 궁금증을 잠시 묻어두며 다음번엔 작품 속에서 만나게 될때엔 좀 더 밝은 렘브란트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