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픽처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옷을 깨끗하게  만드는 세탁이라는 단어가 돈세탁,신분세탁 등에 2차적인 의미로 쓰여지면서 나쁜 이미지를 만들어냈따. 그 중 신분세탁은 평범한 사람으로서는 꿈꾸어 볼 필요가 없는 남의 일로만 여겨왔는데, 이것이 소재가 되어 멋진 소설이 한 권 탄생될 줄은 꿈에도 알지 못했다. 

책의 겉표지만으로는 어디 여행기나 사진집 정도로만 보일뿐인 소설은 첫 장을 넘기고, 두번째 장을 넘겨 가면서 넘겨진 페이지가 많아질수록 우리의 정신을 쏘옥 빼놓는 깊이도 깊어진다. 어렸을 적에 꿈꿨던 나의 모습과 커가면서 겪는 괴리감은 누구에게나 있겠지만 사진 작가가 되고 싶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요구대로 변호사가 된 벤은 아내의 외도를 확인한 순간 이미 자신의 삶에서 탈선해 버린 것인지도 모른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외도 대상인 게리를 죽여버리고 게리의 삶을 대신 살게 되었지만 살인도 삶의 전화위복 앞에 묻혀 버린다. 애초에 치정살인의 끔찍스러움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소설이 아니었기에 우리의 시선은 이제 사진작가 게리가 되어 살게 된 벤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조그만 마을에선 옆집 숟가락이 몇개인지도 알고 사는 것처럼 사진작가가 이사해 왔다는 소문은 마을 전체에 퍼져버리고 이는 숨어 살아야하는 벤에게는 고역이다. 하지만 상위 몇 %의 넉넉한 삶을 살던 때와 달리 벤은 자신의 삶을 되찾은 듯 행복해하고 이런 그를 위해 삶은 또 다른 신분세탁을 준비해 두었다. 그가 게리가 아님을 알고 접근한 남자와 함께 교통사고를 당한 벤은 구사일생으로 살아남고 그 사고로 게리의 신분또한 묻히게 된 후 자신의 비밀을 함께 지킬 평생의 짝과 함께 다른 삶이 시작된다. 더이상 외롭지 않아도 되도록.

원하는 것은 언제든 이루어진다고 했던가. 벤의 삶도 그러했다. 좀 늦게 되찾은 것 뿐이었고 좀 색다르게 이루어진 것일 뿐이었다. 아내의 외도를 알게 되면서 시작되는 벤의 이야기는 빅픽처라는 제목이 달려 우리 앞에 배달되었지만 어느날 우리에게도 일어날 일처럼 설레게 만든다. 

결국 빅픽처라는 것은 하늘이 한 인간을 위해 만들어놓은 큰 사진, 혹은 큰 그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