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읽는 구름책 - 하늘을 이해하는 최고의 방법
리처드 험블린 지음, 정현선 옮김 / 수북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어린 시절 하늘을 그리면 꼭 하늘색 크레파스로 칠한 하늘에 비행기랑 구름을 그려놓곤 했다. 천편일률적이지만 누구나 하늘에 구름 한 조각 걸쳐 그려본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왜 우리는 하늘의 구름이 당연하다고만 생각했을까. 

구름이 어디 하늘에 꿰매어진 것도 아니고 가까이 다가가면 쑤욱 빠져나갈 수 있는 기체일뿐인데....그것을 몰랐었던 시절에 구름은 그저 하늘에 떠 있는 솜사탕 정도였을 뿐이었다. 

중학교 입학 후 지구과학이라는 시간을 통해 좀 더 과학적으로 기상에 대해 알게 되었지만 반드시 알게 된 것이 좋은 것만은 아니었다. 꿈과 환상이 현실과 과학적 증명 아래에 짓밟히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는 하늘보다는 땅을 더 자주 쳐다보며 사는 삶에 돌입해 하늘이 주는 무한한 상상의 영역을 잠시 잊고 살게 되었는데, 리처드 험블린의 [한 권으로 읽는 구름책]을 구경하면서 다시금 어린시절 구름과 하늘을 보며 꿈꿨던 꿈들이 기억나기 시작했다. 

다시 본 하늘은 여전히 파랗고 예쁜 공간이었다. 그래서 이 책이 하늘을 이해하는 최고의 방법을 알려주는 좋은 책임에 공감을 하게 되었다. 풍성한 공간적운, 민머리 적란운, 안개 층운, 렌즈 고적운, 갈고리 같은 상층운, 불길해 보이던 아치 구름등등의 구름들을 바라보며 예전처럼 다채롭게 구름을 바라보게 되었고 뿐만 아니라 달무리, 환일, 코로나, 환월,무지개, 오로라, 틈새빗살, 등의 여러 광학현상 효과까지 구경하며 자연보존에 대해 어른스러운 생각을 굳히게 되었다.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은 이 아름다운 것들을 눈으로가 아닌 책으로 다음 세대에 물려주게 될 일을 만들지 않아야 하는 것이며 구름 박물관 같은 책 속 구름들을 아이들의 눈 속에 각인시켜줄 수 있는 책임있는 어른의 한 사람이 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 같았다. 정말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명언이었다. 아는만큼 생각하고 느끼고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을 통해 본 것들을 잊지 않으려 노력하면서 오늘은 어제보다 더 오래 하늘을 바라보는 시간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