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회 자음과모음 신인문학상 수상작
박솔뫼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을]은 이상한 소설이었다. 제목부터가 그랬다. 
을이라니. 갑을 의 을인가? 뜬금없이 을이라니...

을은 등장인물의 이름이었다. 을. 
민주의 이야기로 시작되었으니 중심인물은 민주일 것이다. 하지만 민주는 자신만의 이야기를 늘어놓지는 않는다. 민주의 시선으로 바라본 을과 을 때문에 만나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헷갈리지 말아야할 것은 민주는 남자고 을은 여자다. 

처음엔 반대로 생각했다가 중간에 이야기가 꼬여서 이상하게 읽혀지기도 했다. 성정체성의 혼란? 을 겪다가 다시 그들의 성을 바로 잡고 읽었더니 이해가 되기 시작했따. 제1회 자음과 모음 신인 문학상 수상작은 이토록 난해했다. 

그들에게 분명 과거가 있을텐데 그들은 과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사람들 같았다. 요시모토 바나나의 치유를 목적으로 한 소설과는 또 달랐다. 이들은 따뜻함을 전방에 깔고 있지 않으니까. 무중력 상태의 인간들처럼 그들은 행동에 그 어떤 의미를 부여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감정상 고조를 겪지도 않는다. 낮설다.  누군가의 평처럼 쓸쓸하기도 했다. 책의 표지색처럼 회색빛이기도 했다. 사건이 일어나지 않고 갈등도 초래되지 않지만 소설은 꽤 많은 분량으로 쓰여지고 있었다. 일기식도 아니고 에세이식도 아닌 소설의 형식으로.

그것 또한 이상한 일이긴 했으나 작가의 문체이거니 하고 지나가 버렸다. 자음과 모음은 꽤 특이한 소설을 골랐다라는 느낌과 함께. 

여행중에 썼다고 작가가 밝힌 글. 그녀의 여행은 어떠했길래 특이한 소설이 탄생했을까. 소설보다는 배경이 되었을 그녀의 여행이 더 궁금해졌다. 

을은 이름이다. 여자의 이름이고 노을의 줄임말이다. 민주는 남자다. 학교의 틀에 얽매이지도 않았고 세상의 틀에 눈치본 적도 없이 스스로의 삶을 살고 있는...하지만 희망과 열정이 결여된 인간형. 그들을 둘러싼 세계엔 그들 같은 사람들이 자석처럼 가득 붙어서 또 하나의 세계를 이루었던 느낌이 가득한 채 소설은 끝을 맺는다. 

특이하다. 소설을 읽고 나서 느낀 단 한 줄의 느낌이다.


ㅋㅌ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