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몽
황석영 지음 / 창비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밥바라기별]이나 [바리데기]는 참 쉽게 읽혀졌다. 알퐁스 도데의 [별]을 읽듯 읽혀졌다. 작가 황석영의 책은 그 무게감과는 달리 언제나 쉽고 아름답게 읽혀진다. 그리고 종국엔 마음 속에 별 하나를 남겨놓는다. 그래서 [강남몽]을 읽게 되면서도 강남의 그 구린 역사위에 서 있는 탐욕스런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지만 종국엔 우리에게 희망의 한 자락을 남겨두지 않을까 라는 실낱같은 마음을 끊지 않은 채 읽을 수 있었다.

 

 

 

강남.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이 땅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땅일까. 얼마전부터 방영되고 있는 대작 드라마 [자이언트]도 이 강남땅 개발을 둘러싼 암투와 얽힌 사람들의 삶을 굵직하게 그려내고 있어 주목받고 있었다. 비록 그 거뭇거뭇한 사람들의 마음이 너무 어두워 시청하고 있지는 않지만 강남땅은 그 자체만으로도 언제나 훌륭한 소재가 되는 모양이었다.

 

같은 소재를 둔 한 드라마는 시청하지 않았지만 소설 한 권은 읽은 내 마음 속 기준은 어떤 것이었을까. 무릎팍 도사에 출연해 코믹하면서도 제할말을 잊지 않았던 흰머리 작가의 달변때문이었을까. 아니면 기존에 작가의 작품들이 보여준 문학성 때문이었을까.

 

책을 읽고나서야 나는 그 차이와 이유를 깨달을 수 있었다. 마치 도가 트이듯 누군가의 글은 또 다른 누군가에겐 깨달음의 깊이를 선물할 수도 있는 일인가 보다.

 

흔히 수많은 작법서 속에서 "첫문장부터 사로잡아라" 혹은 "매력적인 주인공을 그려내라"라고 말하지만 정작 작품은 누군가의 마음을 움직이는 일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많은 소설을 읽으면서 나름대로 터득한 진실인데, 매력의 정점은 사건 속에서도, 극중 인물들 속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작가의 달필 속에서도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는 일이다.

 

[손님]을 비롯해서 [오래된 정원],[삼포가는 길],[개밥바라기별],[바리데기] 등등 어느 책을 읽어보아도 우리는 곰탕같이 진하게 우려진 "사람"을 발견해낼 수 있다.

그런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일이 균형이 맞아 우리의 마음을 움직인다.

 

 

 

강남몽 속에서는 삼풍백화점을 모델로 한 대성백화점의 붕괴에 얽힌 사람들의 삶이 우려지고 있었다. 국밥집 딸로 태어나 영감의 후처가 되어 강남 사모님으로 신분상승된 박선녀와 일제시대엔 밀정으로, 군부 시절엔 흐름을 타고 호의호식하다가 대성백화점의 주인으로 자리잡은 김진,대학교수 심남수, 전설의 주먹인 홍양태,룸사롱 마담 공사장, 사채업자 문회장, 퇴직공무원의 아내 오여사 등의 등장인물들이 강남의 주도세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던 1990녀 중반, 그들의 바벨탑이었던 대성백화점이 무너진다.

 

 

작품을 읽는 내내 사람과 사람 사이를 헤집고 다녔던 나는 이용당하는 쪽과 이용하는 쪽을 번갈아가며 빠져 있는 그 무언가를 발견해냈다. 그들 사이에 허수로 보이는 그 무엇. 바로 [강남몽] 속에는 "함께"가 빠져 있었다. 언제나 그 자리엔 사람이 있었다. 하지만 공존하는 듯 보이는 순간에도 그들은 함께 할 수 없었다. 언제나처럼. 함께가 빠져 있는 소설. 그래서 그 사이로 거품 빠지듯 바벨탑이 무너졌을때 남겨진 이는 앞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사람인 임정아였다. 유일한 생존자이자 희망의 풀씨.

 

작가는 꿈에서 깨어나면서 현실에 발디딜 인물을 임정아로 택한 것이다. 하지만 꿈에서 깨어났어도 [강남몽]은 묘한 아쉬움과 다행스러움 둘 다를 간직하게 만들어놓았다. 그리고 소설이 주는 메시지를 알면서도 스스로에게 다시금 물어보게 만든다.

 

우린 정말 꿈에서 깬 것이 맞는 것일까. 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