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팅 클럽
강영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단순히 제목을 보고 또 하나의 작법서라고 생각했던 나는 장르고 소설인 이 책을 두고 "써도 미치고 안 써도 미친다"라는 의미를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글을 쓰고자 한 이들에겐 궁극적으로 평생을 두고 작가의 타이틀을 달지 아닐지는 그닥 중요한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소설은 증명하고 있었다. 글을 쓰고 있는 이상, 글을 쓰고자 하는 이상, 작가를 꿈꾸는 이상 그들의 직업은 다른 것이 될 수 없었다. "작가"라는 이름외엔 그들을 부르는 다른 호칭들은 그렇게 빛을 잃어갔다. 소설 속에선.

자유분방하게 평생을 살았던 부끄러움도 넘침도 모자람까지 "김작가"라는 이름 아래 쑤셔넣은 채 살아온 이상한 엄마 김작가의 딸 "나"는 엄마만큼이나 이상한 주변인들을 펼쳐놓은 채 살아가는 인물치고는 아주 평범한 사람이었다. 아니 가장 평범하게 보이는 인물이었다. 하지만 그녀가 바라본 특이한 인물들에 대한 인생 스케치가 "글을 쓰겠다는 열망"을 불러 일으킨 것은 아닐까. 열망을 품는 순간부터 그 사람은 쓰겠다는 일 외에 다른 일에서 정신줄을 놓아버리는 환자가 된다는 작가의 덧붙임말은 그녀나 엄마나 할 것없이 예외를 만들지는 않은 듯 했다. 

라이팅 클럽은 그런 면에서는 아주 좋은 교본이었다. 작가를 꿈꾸기만 하면 너두나두 금새 될 수 있을 것처럼 말하는 몇몇 권의 작법서의 달콤함을 현실 속으로 던져버리게 만들면서도 묘하게 그만두게 만들지는 못하는 묘약의 책이었으니까.

김작가와 동거하면서 딸인 "나"는 동네에서 그녀를 작가로 인정하지 않는 유일한 사람이었다. 작가이기보다는 관찰자로, 관찰자에서 여자로, 사람으로 이해하기 시작하면서 종국엔 그녀가 정말 상을 타면서 작가로 인정하기까지 참 많은 세월이 흘렀다. 세상의 모든 딸들이 엄마를 여자로 이해하는 시간만큼이나....

전문 작법서가 아니면서도 작법에 대해 충고받게 되는 이 묘한 소설의 제목이 왜 [라이팅 클럽]이 되었는지는 책을 끝까지 다 읽게 되면 자연스레 알게 되는 비밀인데, 나는 책을 읽으면서 정말 무미건조할 수 있는 재료들이 어쩜 이렇게 맛깔나게 요리되어 책 한 권이 될 수 있었는지 작가의 레시피에 대한 궁금증을 세번쯤 반복해서 읽었을 때 겨우 감을 잡을 수 있었다. 

[라이팅 클럽]은 한 권의 소설이면서 특이한 또 하나의 작법서였고,맛난 글의 요리를 완성해낸 글의 레시피였다. 적어도 나에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