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사리 문학대상 수상작품집 : 2001~2007 - 제1회~제7회 토지문학제 ㅣ 나남신서 741
엄현주 외 지음 / 나남출판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토지를 읽는 것은 세상을 살아가는 치열함을 배우는 것입니다....
라고 전 21권의 양장본에 대한 소개는 시작되고 있었다.
토지. 어린시절 드라마로 봤던 기억이 얼금얼금...책으로 봤던 기억이 가물가물...
하지만 중고등학교 시절 봤던 [미망] 이나 [장길산]보다 더 기억에 각인되어 있는 소설이 바로 토지다. 토지는 근현대사까지 이어지지 않았지만 한국 문학과 삶의 뿌리라고 말하고 싶은 작품이기도 했다.
그런 작가 박경리를 기리기 위한 응모전이 있었는데 바로 [평사리 문학대상]이다. 토지문학제로 불리기도 하는 그 글축제 7년간의 수상작 모음집이 있다는 말에 두 말없이 달려가 책을 안아들었을 때의 기쁨이란 이루 말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소설/수필/시의 수상작들과 그 당선소감은 투고작가의 마음으로, 심사평은 심사위원의 마음이 되어 읽어나갔다. 어느 해의 작품은 지루함에 다소 실망스럽기도 했고, 또 어느 해의 작품은 시간가는 줄 모르고 궁지에 몰린 닭처럼 머리를 콕 쳐박고 읽어대기도 했었다.
그리고 한 권을 완전정복했을 때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은 2003년 작 소설인 [끝섬]이었다.
첫문장으로 독자를 사로잡아라...는 작법서의 외침이 틀리지 않았던 것을 이 작품을 통해 경험하게 된 이유는 바로 그 문제의 첫문장 때문이었다.
"죽은 그림이군요. 남자를 옭아맨 말이다"라는 시작은 궁금증과 함께 가슴 밑바닥에 저며 있는 그 무엇을 올라오게 만드는 힘을 가진 문장이었다. 여자의 말이 지워지지 않았다는 남자의 고백처럼 읽는 내내 내게도 그 첫문장은 지워지지 않았다. 혼탁하고 어지러운 장면들 속에서 착붙어 읽게 만드는 속도감은 작가의 문장감에 있었다고밖에 할 수 없을 것이다.
이렇게 쓴다 를 구경하고 싶어 읽기 시작했으나 어떻게 쓴다 의 답을 구하지 못한 채 책을 덮게 되었지만 그래도 기분이 좋았던 까닭은 몇몇 작품이 보여준 재미 때문이 아니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