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잉 아이 - Dying Eye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재 후 8년 만에 단행본으로 출간된 [다잉아이]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이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매료될만 한 작품이었다. 

-지금 봐도, 다시는 이렇게 쓸 수 없을 것 같다

는 작가의 극찬 아래 이야기는 모두가 조금씩 거짓말을 하는 신스케 주변으로 모여진다. 신스케 정말 사람을 죽였던 것일까. 그리고 그 기억만 몽땅 사라져 버린 것일까. 

죽으면서 마지막으로 목격되는 것은 그 어떤 것이라도 공포스럽다. 구전으로 전달되던 이야기 중 비슷한 공포를 맛보게 한 이야기가 있는데 베란다에 밤에 서 있다가 마침 자살하던 아이와 눈이 마주쳤는데 거꾸로 순식간에 떨어지던 그 아이와 눈이 마주친 순간은 슬로우 모션처럼 기억되어 아주 무서웠다는 어느 공포 이야기처럼 다잉 아이는 다잉메시지가 눈을 통해 전달되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다소 방탕하게 생활하던 바텐더 신스케는 술집 아가씨 나루미와 동거중이다. 딱히 사랑한다거나 하는 사이는 아니지만 그런대로 만족하며 살고 있었다. 어느날 그 사건이 일어나기 전까진.

집으로 돌아가던 신스케는 뒤통수를 맞고 쓰러지는데 이후 부분 기억상실을 겪게 된다. 자신이 냈다는 인사사고 자체를 몽땅 기억속에서 도둑맞아버렸다. 그런데 문제는 자신을 공격한 남자가 그때 인사사고를 당했던 여자의 남편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는 죽어버렸다. 이후 신스케는 잃어버린 기억의 조각과 자신을 공격했던 남자의 자취를 찾아 나서던 중 나루미가 실종되고 매혹적인 여인 루리코와의 만남이 이어진다. 더 이상한 점은 모두가 조금씩 어딘가 모르게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야기는 이렇게 추리소설처럼 조금씩 보여주고 더 많이 궁금하게 만들어가고 있다. 마네킹을 만드는 레이지의 부인인 미나에가 자전거를 타고 가던 중 사고를 당하면서 죽기 직전까지 그 모든 고통을 슬로우 모션처럼 느끼는 과정은 잔인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저 한줄로 죽었다 정도로 나타내던 다른 소설과는 달리  생생한 묘사로 그녀의 고통을 드러내는 부분을 첫 장면으로 잡은 까닭에 소설은 더 강인하게 각인되어 버렸다. 

미도리가 다잉아이의 최면에 걸리듯 우리도 함께 각인되어 버리면서 소설은 점점 더 매력적인 이야기 속으로 스며들어 가는 듯 했다. 마지막, 사카마키의 입을 통해 정리되는 순간까지 그 긴장을 늦추지 못하게 만드는 짜릿함은 히가시노 게이고만의 특허가 아닌가 싶어졌다. 

그는 역시 이야기꾼이었다. 그 어떤 소재도 그의 손을 타면 재미난 이야기로 포장되어 나왔다. 원한과 슬픔, 그리고 욕망이 어우러져 또 멋진 이야기 한 편이 탄생되었다. 박수를 보내고 싶을 만큼 멋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