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뜬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노 작가가 세상을 타계했다는 소식을 접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작가의 다음 권을 펼쳐든다. 40대 중반에 시작된 그의 글은 언제나 힘이 넘친다. 하지만 사실 어렵다. 
[눈먼 자들의 도시]를 읽고 나선 한동안 멍한 채로 보내야만 했다. 너무 어렵고 어떻게 정리해야할지 몰랐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화가 크랭크인이 되었을 땐 너무 반가웠다. 나 대신 누군가가 정리해준 일목요연한 해석으로 볼 수 있다니, 얼마나 반가웠는지...

[눈뜬 자들의 도시] 역시 영화화되어 쉽게 보게 되면 좋겠다. 1992년생인 주제 사라마구의 눈은 날카로웠다. 노안이 아니라 작가의 시각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작가의 글은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를 담고 있다. 그래서 그의 글을 읽을때면 평소 관심없이 지나치던 세상살이에 대한 무관심이 후회가 된다. 나는 얼마나 내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해 무관심으로 일관해 왔던가. 그가 작품에 담아내고 있는 [눈먼 자의 도시]속 세상도 우리의 세상과 다를바 없다. 

눈이 멀었다고 해서, 방관의 공간에 집단을 수용했다고 해서 권력이 생기지 않는 것은 아니었다. 규칙이 없고, 법이 없는 곳에서 파생되는 폭력과 약육강식이 얼마나 더 위험하고 무서운 일인지 극단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우리는 인간이 가장 무섭다는 공포를 맛봐야했다. [눈뜬 자들의 도시] 역시 마찬가지다. 눈을 뜨고 있다고해서 달라진 바는 없다. 

전염병이 사라지고 4년 후, 현실이 그렇듯 소설 속에서도 밝혀지는 바 없이 흐지부지 마무리 되어 버린 그 사건에 대해 경각심보다는 잊어버림으로써 세상은 다시 굴러가고 있었다. 선거일까지 바꾸었지만 백지투표로 이어져 버리고, 이 가운데 4년전 사건이 다시 대두되면서 소설은 계속 집필되어 간다. 그의 전작이 그랬듯이 읽기가 만만찮은 작품이었다. 또한 보통은 큰 따옴표로 묶여져 칸바꿈을 하는 대사가 지문과 뒤엉켜있어 더 사색적으로 보인다. 

분리 없이 이어져 있는 대사와 지문.현재와 이어져 있는 과거. 그 속에서 변함없는 것은 사람들뿐인 듯 했다. 소잃고도 외양간을 고칠줄 모르는 사람들. 누군가를 속이고 자신의 잇속만 챙기려는 이기적인 사람들. 그런 사람들이 살고 있는 회색의 세상. 주제 사라마구는 세상이 아름답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의 글을 읽고 있으면 내가 속고 있는 오늘, 변하지 않을 회색빛 내일에 대한 한숨이 먼저 나온다. 

그의 글은 결코 가볍지 않다. 읽는 내내 집중해도 모자랄만큼 어렵기도 하다. 하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는 책임에는 틀림이 없다. 읽고나면 내가 사는 세상에 대해 다른 시선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동심이 아닌 어른의 마음으로 살아야할 필요성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