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의 우화
아르노 들랄랑드 지음, 박명숙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단테의 신곡살인]의 작가 아르노 들랄랑드의 소설 [피의 우화]

피와 우화는 섞일 수 없는 본질의 것인만큼 [킬러들의 수다]처럼 반어적 표현같이 느껴졌다. 읽기전부터 그만큼 기대가 컸던 작품인데, 7월을 맞아 읽으려고 잠시 읽기를 미루어두었던 소설이기도 했다.

 

소설을 읽으면서 루이 15세와 16세의 사이 참 많은 상상력이 파고들어 있음을 느낀다. 루이라는 왕가의 이름이 대물림 되는 속에서 [삼총사],[철가면],[베르사이유의 장미] 등등을 비롯한 작품들이 탄생되었다. 

 

루이 16세의 치세는 왕가로보면 파국으로 치닫는 화려함한 마지막 불꽃 같았던 시대였겠지만 작가들로 하여금 많은 것들을 상상하게 할만큼 매력적인 틈이 많은 시대이기도 한 듯 싶다.

 

[피의 우화]는 그 시절이 배경이다.

1774년 3월부터 시작된 비밀 첩보원들의 죽음. 이번엔 피에트로의 차례였는데 과거 그가 죽였던 우화작가가 부활해서 첩보원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고 있었다. 되살아난 것일까, 모방범일까. 알 수 없는 가운데 피에트로는 사건의 중심부로 나아가고 있었다.

 

열개의 우화를 살인 예고장 삼아 범죄를 저지르는 우화작가는 사실 오페라의 유령보다는 덜 매력적인 캐릭터였다. 신비스럽다거나 카리스마 넘친다는 면에서 유령보다는 한 수 아래의 캐릭터이며 향수의 그루누이보다는 덜 치명적이다.

 

하지만 열개의 우화가 완성될때까지 계속되는 살인은 그 어떤 장편추리소설보다 흥미로웠으며 1774년 5월 토막난 로제트의 시체가 베르사유 거울의 방에서 발견되면서 시작된 예고 살인은 게임이 진행되듯 순차적으로 일어나고 있었다. 그 사이사이 힌트와 아이템이 남겨지는 현장에서 범인의 모습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우화를 빗대어 시적으로 자행되는 살인 이라는 점에서 흥미로움을 더한다. 게다가 루이 16세와 마리앙투와네트의 대관식에서 그들의 왕관은 머리로 곧장 떨어질 수 있을 것이지가 클라이막스로 자리잡는 가운데 상상보다는 덜 끔찍했던 소설이라는 결론이 지어졌다.

 

또한 두 축이라고 할 수 있는 범인과 피에트로는 각각의 무게로 작품의 양쪽에 서 있다. 주인공 피에트로는 베테치아 비밀경찰조직의 일원이었으며 1758년 루이 15세의 의해 국왕기밀체제의 비밀요원이 되었다. 대외적으로는 후작의 칭호를 수여받았다.

 

열개의 우화와 되살아난 우화작가, 그리고 밝혀지는 그의 출생의 비밀.

 

멋진 조합에도 불구하고 재미가 덜했던 까닭은 철가면에서 쌍둥이 왕, 출생의 비밀을 이미 보아왔기 때문이다. 그때의 재미로 인해 출생의 비밀이 있는 또다른 왕권 계승자의 캐릭터는 빛을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의 계승 당위성에 대해서도 동의하기 어렵다. 기대보다는 재미요소가 적었지만 작품 하나만 두고 보자면 흥미로운 구석이 많은 작품이기도 하다. 그저 기대치가 높은 시기에 보게 되어 유감스럽긴 했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