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다라의 돼지
나카지마 라모 지음, 한희선 옮김 / 북스피어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왠만한 영어문법서보다 두꺼운 책이지만 읽고 싶었다.

도착했을때 그 두께를 보고 "바퀴벌레 50마리쯤은 때려잡아도 한 방"이라고 생각할만큼 튼튼한 책의 모양에 놀라긴 했지만.

 

팔 년전 아프리카에서 딸을 잃은 민족학자 오우베.

 

이 한 줄이 시작점이었다. 오우베는 딸을 잃었다. 일본인들에게 자식이란 어떤 의미일까. 우리는 흔히 자식에 대한 애증을 말할때 엄마를 떠올린다. 많은 소설의 소재가 된만큼 [애자],[마더],[엄마를 부탁해]등등에서도 그 일맥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요즘 읽게 되는 일본 추리소설 속에서는 "부정"이 많이 발견된다. 얼마전에 읽었던 통곡도 아이를 잃은 아버지가 딸을 되살리기 위해 벌이는 연쇄 유아 살인이 소재였다. 그리고 이번에도 딸을 잃은 아버지가 나온다.

 

그는 마을 사람 전원이 주술사인 쿠미나타투 마을에서 "바나나 키시투"를 훔친다. 하지만 대주술사 바키리의 저주를 받고 쫓기게 된다.

 

이 줄거리만으로는 매력점을 찾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일단 책장을 넘기기 시작하면 거짓말처럼 이 방대한 양들이 물밀듯이 밀려들어와 읽기를 멈출 수 없다. 마치 홍수 속에 버려진 한 인간의 나약함을 체험하듯 말이다.

 

47회 일본 추리작가 협회상 장편장 수상작이 될만하다. 하지만 그보다 더 기이한 점은 작가의 이력이었다. 이런 캐릭터가 소설에 등장한다고해도 하나도 이상하지 않을만큼 그는 평범하지 않았다. IQ 185. 너무 넘치는 가능성 때문인지 그는 정상적으로 삶을 살지도 행복하게 삶을 영위하지도 않았던 것 같다. 그의 이런 기이성이 [가다라의 돼지]나 [감옥에서 하는 다이어트]등을 쓰게 만들었을까.

 

감옥에 갇히고, 알코올성 간염에, 마약, 종국에는 예언대로 계단에서 떨어져 죽은 마지막까지 그는 기이한 인간이었다. 김유신의 머리일까를 읽은 다음이라 그 재미는 다소 반감된 듯 하지만 이 작품을 단독으로 하나만 읽었다면 분명 많은 감탄사를 내뱉으며 서평을 남겼을지도 모르겠다.

 

작품보다 작가의 삶에 더 궁금증을 느끼게 된 것은 처음이 아닐까 싶어졌다. 독특한 그의 작품을 읽으며 작가의 삶을 더 파헤쳐보고 싶은 충동이 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