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성 신수지의 123 스트레칭
자생한방병원.권대익 지음 / 전나무숲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남아공 월드컵으로 나라가 시끌시끌하다. 대표팀 주장 박지성 선수. 
그의 이름이 붙으면 다른 책들과는 뭔가 달라도 다를 것이라는 기대감과 함께 [박지성 신수지의 123 스트레칭]은 나를 찾아왔다. 기존에 원정혜요가 부터 간고등어 코치의 웨이트 트레이닝, 파자마 다이어트까지 몇몇 스트레칭 책들을 가지고 있던 나로서는 책 속의 스트레칭이 기존 스트레칭법과 어느 부분이 다른지 효능은 어떤지 비교해보고 싶어졌다. 

스트레칭만으로 박지성 선수처럼 탱크 같은 체력에 군살 없는 몸매가 될 수 있을까. 단기간에는 어려울 것이다. 박지성 선수의 체력은 스트레칭만으로 이루어진 것도 아닐테지만 한 두 해로 만들어진 것이 아님을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도 언제나 시작은 있는 법일테니, 나는 나의 시작을 이 책으로 하고 싶어졌다. 건강하고 활력있게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진 요즘 짬짬이 체력을 보강해 좀 더 건강한 삶을 살고 싶기 때문이다. 

얼마전 [척추 디스크 환자를 위한 바른 자세와 운동]이라는 책을 보았는데, 디스크 환자가 되면 얼마나 무서운 일인지 책은 일깨워주었다. 그래서인지 몸의 균형을 맞추는 동시에 통증을 없애고 유연성을 강화해서 튼튼한 근력과 함께 건강도 지켜나가고 싶었다. 노화 억제는 그 다음 문제였다. 이미 성장은 끝난 나이지만 올바른 자세가 가져다주는 잇점이 이토록 많을까 싶을 정도로 책은 효능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건강의 핵은 올바른 척추에 있다는데 동서양 의학이 모두 인정하는 척추 건강을 위해 1일 2회 3분 스트레칭을 습관화해 아름다움과 건강의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것을 목표로 두어야 겠다. 몸이 행복해지는 비결. 따로 있는 것이 아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