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풍수 2 - 바람과 물의 노래 나남창작선 34
김종록 지음 / 나남출판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풍수]의 2권은 미치광이가 되었다가 정상인으로 돌아온 정득량의 이야기다. 
명예욕이 강했던 할아버지 정참판의 야심으로 인해 화를 당했다가 살아남은 손자 득량. 
그는 일본 유학길을 접고 구한말 전설의 풍수 진태을을 밑에서 풍수를 공부하기 시작한다. 
허나 풍수를 공부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간룡법, 장품법, 득수법, 점혈법 등 뿐만 아니라 용맥이 흘러오는 산과 사격, 물 그리고 방위 등도 알아야 하고, 음양오행도 알아야 한다. 이 뿐인가. 이론과 실제는 또 다르다. 현장에서의 경험 또한 중요한 일이니 풍수는 복합적이며 어려운 학문이라 하겠다. 

단지 소설을 통해 읽는 것인데도 풍수는 한없이 매력적이면서 또한 아무나 할 수 있는 학문으로 보이질 않는다. 

학문적으로 풍수를 익혀가던 득량과 반대로 정 참판의 명당자리를 훔쳤다가 발각되어 몰매를 맞았던 조판기의 작은 아들 또한 풍수쟁이가 되어 있었다.  그리고 제 버릇 개 못준다고 일가는 도굴을 하다가 일본에게 걸려 풍수침략의 앞잡이로 전락해 버렸다. 

풍수는 미신이라며 빨리 벗어나라던 왜인들이 왜 그토록 풍수에 미쳐 강산의 혈자리를 끊고  공동묘지제도를 시행했을까. 겉과 속이 다른 그들의 마음을 눈치 채지 못하고 그저 좋아했던 순박한 그 시절 우리네 조상들이 무지몽매해보이고 안타까울 따름이다. 득량이라고 다를바 없었다. 왜놈들의 수작에 놀아나 태을의 노여움을 사고 말았으니....


2권의 명언들은 직선적으로 표현되고 있었는데,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은 다 허튼소리? 찾아보면 그럴만한 사연이 있다....라는 구절이나 인물이란 아무 데서나 태어나는 게 아니었다. 준비하고 기다리는 집안에서 나오게 마련이었다. 는 말은 저출산 시대인 현대르 사는 우리들에게도 많은 생각들을 하게 만드는 구절이다. 준비하고 기다리라...많이 낳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잘 낳아서 바르게 길러야 하는 것이 부모됨의 기본이 아닐까. 책의 어느 부분처럼 섹스는 쾌락 이전에 자기 복제라는 말에 공감이 간다. 대를 잇는 다는 것. 그리고 좀 더 나은 후세를 바라며 자기를 복제한다는 것. 그래서 그 염원이 묻히는 순간까지 이어진다는 것. 삶과 죽음의 이 숭고한 고리 끝에 비밀이 있어 보였다.

미신으로 치부하기엔 따져볼 일이 많은 풍수. 풍수에선 말하고 있다. 명당은 시간과 공간, 인간의 삼간을 이야기 하며 시간은 천문, 공간은 지리, 인간은 천지인을 각각 뜻해 이들을 삼재사상이라고 부른다고.

어려운 이야기는 건너뛰어도 되겠지만 이 정도의 이야기쯤은 우리도 가슴에 새겨봐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