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 - 안개의 성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현주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언제인지 모르는 시대의, 어디인지 모르는 곳에서의 이야기...

 

 

얼마나 멋진 홀림구절인지. 미미여사는 또 또 이런 멋진 문장으로 전혀 관심없었던 책 한권을 내게 떠 안긴다. 사실 사회성 짙은 문체의 작가인 미야베 미유키의 빈틈없는 구성을 좋아하는 내게 [이코, 안개의 성]은 좀 뜬금없는 작품이다.

 

SF적이면서도 게임같은 환타지의 색채가 가득 찬 그런 작품이기에 읽지 않고 PASS해 버렸던 작품인데, 새로 번역된 그녀의 작품을 찾지 못해 헤매던 중 제쳐 두었던 책을 다시 꺼내들고 말았다. 그리고 한참을 망설였다. 재미있을까?

 

 

첫 장을 넘기면서 한 문장에 사로잡혀 버렸다. 작법서에서 말하던 "첫문장으로 사로잡아라"는 바로 이런 문장을 의미했던 것일까. 언제인지 모르는 시대의, 어디인지 모르는 곳에서의 이야기라니...반지의 제왕이나 해리포터류의 환타지 소설은 자기만의 세계관이 확실한 장르다. SF적이면서 동화같기도 하고 또한 환타지 소설 같기도 한 이 소설 역시 다른 세계의 모습을 완벽하게 재현해줄 것이라고 기대했건만 어디인지 모르는...이라는 뭉뚱그려진 단어로 표현되다니. 실망해야 마땅할 이 문장이 왠지 설레게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주인공 이코는 성주가 아니다. 이코, 안개의 성이지만 그는 주인이 아니라 오히려 종이라고 표현되어야 정확한 인물이다. 그는 탄생에서부터 운명이 결정되어진 아이였다.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주인공 중 하나인 "나루토"처럼. 부모 없이 여우의 혼령을 몸 속에 가두고 사는 아이 나루토처럼 이코는 태어날 때부터 제물이 될 아이였다. 표식인 뿔을 가지고 태어났으며 13살이 되면 뿔이 본성을 드러내 "제물의 때"를 알리게 된다고 했다. 그리고 안개의 성에 바쳐지는 것이 순서인 것이다.

 

 

70세의 토쿠사 마을 촌장은 아내 오네와 함께 이코를 맡아 키운다. 안개의 성이 선택한 아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부부는 아이를 사랑으로 키운다. 하지만 13년의 시간이 흐르고 이코는 바쳐질 때를 맞이한다. 헬보이처럼 뿔이 있는 아이지만 모두 이코를 보내는 것이 마뜩찮다. 특히 절친 토토는 이코를 위해 금지된 산행을 감행하는데 그만 돌로 변하고 만다.

 

결국 이코는 안개의 성으로 향하고 그 곳에서 갇혀 있는 천사 요르다를 만나고 그들은 여왕에게서 벗어나기 위한 운명의 탈출을 꿈꾼다.

 

 

운명은 거스르라고 있는 것. 이코의 운명은 정해졌지만 그 정해진 운명을 바꾼 것 또한 이코였다. 미야베 미유키의 작품이라고 믿어지지 않을만큼 소설은 달콤했다. 그 어떤 사회성을 대변하는 날카로움이 아니라 동화적이고 곡선적이며 부드러움이 가득 묻어나는 것이 놀랍기만 했다.

 

미야베 미유키는 대체 무슨 마음으로 이 글을 썼던 것일까. 그리고 그녀는 또 어떤 마음으로 자신의 책을 책장에 꽂아두고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단 하나의 의문이 들게 만드는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 [이코-안개의 성]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