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100배 즐기기 - 회사와 집에서 모두 잘나가는 아빠 되기 프로젝트
김지룡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자녀 교육은 팀워크...


특별한 아빠들이 뜨고 있다.  우울하고 가부장적이던 아버지 상이 멀어지고 있다. 하루에 한번도 얼굴 보기 힘들었고 언제나 짜증만내고 엄마와 자녀들과의 놀이시간은 좀처럼 낼 수 없이 바빠 뒷모습만 보이던 아버지들이 점점 줄고 있다. 물론 아직 이런 아버지들도 있다. 하지만 예전에 비해 젊은 아버지들은 함께 하는 즐거움을 알고 있다. 아내 혼자 키우는 아이가 아니라 너와 내가 함께 하는 양육의 중요성을 깨달은 세대이기 때문이다. 

아빠들의 육아일기, 자녀 사진찍는 법, 요리, 뜨게질에 이르기까지 놀랄만큼 다양하게 육아에 참여하는 아빠들이 책이 세상에 쏟아져나오고 있다. 대한민국의 이 좋은 아빠들은 왜 이미 결혼해버린 것인지 통탄할만큼 좋은 아빠들이 많아지고 있는 요즘 얼만큼 좋은 아빠인가 따져보기 보다는 어떤 방면으로 아이와 함께 하는 좋은 아빠인가를 눈여겨 보아야 할 행복한 시대가 와 버렸다. 아이스크림뿐만 아니라 아빠도 골라 따라할 수 있는 재미난 시대의 출발점에 우리는 서 있다. 



좋은 아빠는 성공한 아빠이기도 하다...


잘해주는 것과 잘 키우는 것은 분명 다르다. 저출산 시대이니만큼 하나나 둘뿐인 아이들을 잘 키워내는 것이 부부의 소명이 되었다. [고등어를 부탁해]의 가족들처럼 나 역시 결혼하게 되면 남편에게 "돈만 많이 벌어다 줘"보다는 "돈은 더 많이 안벌어다줘도 되니, 당신의 시간을 갖거나 우리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어때?"라고 말하게 될 것 같다. 평균수명이 길어졌다고는 하지만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할 시간은 역시 너무나 짧다. 그래서인지 함께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달아버렸다. 


저자의 말처럼 가정과 회사는 별개가 아니다.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는 아빠가 리더로서 인맥관리를 잘 하지 못할리는 만무하다. 그는 이미 스스로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을 터였고, 사람을 보는 눈도 여유로울 것이며, 필요할때와 물러서 있어야 할때를 알고 있을 것이기에 어디에서나 자신의 역량을 십분 발휘할 인재일 것이다. 


세상에서 제일 처음 갖게되는 친구, 아빠....

작년쯤인가 CEO 안철수 출연의 무릎팍도사를 본 적이 있다. 그가 부모님 이야기를 언급할때 역시 부모의 교육이 인성을 완성하는 밑거름이 되었구나 라고 감탄했다. 누구나 생물학적으로 아버지가 되는 것은 쉽다. 하지만 정말 아버지스럽게 살아간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좋은 아버지라는 지표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없다. 아이를 키우는 일에는 연습이 존재하지 않는다. 끊임없이 실수하게 되겠지만 극복해가며 내 아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 그것이 바람직한 모습이 아닐까 싶다. 

아이가 태어나 제일 처음 갖게 되는 친구는 바로 부모라고 생각한다. 최초의 친구와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느냐에 따라 아이는 세상에 나갈때 두려움을 갖거나 자신감을 갖추게 된다. 그래서인지 나이가 들수록 좋은 남자와의 연애를 꿈꾸기도 하지만 또한 좋은 아버지가 되어줄 남자에 대한 시각도 갖추려고 노력중이다. 언젠가 태어난 내 소중한 아이를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