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엽감는 여자
박경화 지음 / 책나무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도망가고 싶은 현실과 마딱드렸을 때, 그것이 꿈이거나 소설이라서 딱 덮어버릴 수 있다면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일까. 마음이 딱 그랬다. 책을 읽는 내내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일요일을 살고 있는 느낌이었다. 어서 끝나고 해가 나왔으면 좋으련만 많이 내리지도 않고 딱 추적추적만큼만 내리는 비가 기분나쁘게도 계속 이어지고 있었다. 책을 읽는 마지막 순간까지.


현실이 아니라 소설이라 정말 다행이었다.


단편소설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다 하나같이 도망가고 싶은 현실을 살고 있었다. 모두가 불행한 주인공들. 희망이 없어보이는 그들. 시골의 초록빛이 아니라 도시의 회색빛에 물들어 있는 그들에게서 엿보여지는 것은 "희망"이나 "열정"이 아니라 어딘지 유통기한이 지나 시들어 가는 야채들 같은 시들함이었다. 치열하게 살기보다는 살아지고 있는 삶을 살고 있는 것 같은 인물들을 바라보며 한없이 우울해지고 있었다. 읽는 나 역시.


무언가 잃어버린 사람들을 바라본다. 후회하지 않을 기회를 잃어버린 <가을 몽정>의 그 여자의 상실감을, 금붕어와 뱃속의 아이를 잃어버린 <어항>의 그 여자의 빈어항을.....[태엽감는 여자]라는 책 속엔 8개의 단편과 그들의 삶이 기록되어 있다. 어딘가 조금씩 불행하며, 쓸쓸하고 잃어버린 사람들이. 그들은 결코 조르지 않는다. 그 결과를 이미 포기한 듯 절대 조르는 법이 없다. 그 소리없는 항변이 마치 배우가 무대위에서 관객들만을 향한 독백의 손을 내밀듯 독자들에게만  알리고 있는 듯 해서 더 마음이 무거웠다.


그리고 또 다시 다행스러워졌다. 소설이라서 다행이야. 라고. 누군가의 현실이 이런 상태인데, 그 사실을  나만 알고 있다면 얼마나 마음이 무겁겠는가. 우리 모두 땅을 밟고 서 있지만 그 땅의 단단하기가 달라서 모르는 사이 사라지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꼭 그런 사람들이 가득 모여 사는 곳 같은 소설이 [태엽감는 여자]였다.


그저 나에게 온 것에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반면 자신의 삶을 타인의 삶처럼 바라보며 사는 사람들도 있다. 소설가 은희경, 공지영의 주인공들이 항상 자신이 중심인 삶을, 소설가 신경숙의 주인공들이 타인을 관찰하고 그들을 바라보는 삶을 살지만 그들은 결코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무게를 놓지 않는다. 어떤 필체건 능동적이게 느껴진다. 반면 [태엽감는 여자]에 주인공들은 반쯤은 그 힘을 누군가에게 주어버린 것만 같다. 너무나 애처롭게 느껴지는 순간이다. 물론 작가의 필체는 담담하다. 동정심을 유발한다든지 하는 문장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안타까운 것은 그들의 독백이 향한 곳이 독자이기 때문은 아닐까.

세상에 아무도 모르지만 읽는 너는 알리라. 라는 작가의 계산된 독백. 그것 때문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