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기억의 피아니시모
리사 제노바 지음, 민승남 옮김 / 세계사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50대의 하버드 대학 여교수가 알츠 하이머에 걸린다는 것은 어떤 것을 의미할까. 다른 누구도 아닌 세계의 석학들이 모여있는 하버드 대학의 여교수다. 그녀가 가지는 지적 자존심은 하늘 끝에 있을 터였다. 그런 그녀에게 알츠 하이머가 찾아온다. 그리고 가족들은 그런 그녀를 지켜봐야만 한다. 

알츠 하이머는 전혀 아름답지 못한 이별의 한 형태다. 어른으로 알고 있던 한 사람을 어린아이나 바보로 전락시켰다가 결국에는 세상에서 사라지게 만든다. 가족들은 고스란히 그 퇴행현상을 지켜봐야하고 고통받아야 한다. 자신조차 기억해 낼 수 없는 병이라니....게다가 맘 편하게도 까맣게 잊어버린다니....그 얼마나 잔인한 병인가. 그런데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이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까닭은 갑작스런 이별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갑자기 세상에서 사라지거나 중병의 진단으로 급한 수술 중 사라져 버린다면 그 상실감은 고스란히 남아 있는 사람의 몫이된다. 하지만 적어도 이 병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최선을 다할 수 있게 해주고 서서히 이별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준다. 그래서 갑작스러운 이별과는 다르다.

앨리스의 가족들 역시 고통스럽다. 하지만 그 가운데서도 건강할때엔 부딪히기만 했던 딸 리디아와 화해를 이루어내는 모습은 감동스럽다. 그리고 마지막장까지 그녀가 살아 있음에 감사드렸다. 그녀가 죽는 모습으로 소설이 끝나지 않아 다행이었다. 최소한의 희망을 가족들과 함께 붙잡고 있고 싶은 마음이 들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