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번 교향곡
조셉 젤리네크 지음, 김현철 옮김 / 세계사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만약 신이 인류에게 저지른 범죄가 있다면
그것은 베토벤에게서 귀를 빼앗아간 일이다."
                                                                    -로맹롤랑-

그가 청각을 잃었기 때문에 악성이 더 뛰어나졌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면 몇 번 쯤은 꼬집어 주고 싶은 충동이 일어난다. 장애가 있어도 뛰어넘을만큼의 천재라면 정상적인 귀를 가졌을때엔 얼마나 더 대단한 것들을 토해낼 수 있을 것인지는 간과해버린 어리석음 때문이다. 우리는 곁에 있는 것의 소중함은 늘 모른다. 눈으로 보면서, 귀로 들으면서, 코로 맡으면서 손으로 만지고 입으로 먹고 마시면서 느끼는 감정들과 느낌들이 예술가들에겐 그저 지나치는 하루의 일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그런 공감각적인 기능들이 그들의 예술혼을 불태운다는 사실을 평범한 사람들이 알리가 없다. 그런데 그는 귀를 거세당했다. 그래서 나는 그의 음악을 들을때마다 애잔하다. 

조셉 젤리네크는 후작 [악마의 바이올린]을 통해 알게 된 작가였다. 하지만 그 작품보다 전작인 [10번 교향곡]이 훨씬 더 흥미롭다. 지루한 부분도 없을 뿐더러,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람에 대한 모르는 이야기가 뇌를 자극시킨다. 

베토벤. 그의 불행한 일생에 대해서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위인전을 통해서, 각종 책과 영화를 통해서도 알려졌던 사생활. 하지만 정작 알려진 것에 비해 너무나 많은 것들이 감추어져 있다는 것도 미스테리한 일이다. 그 많은 여인을 사귀었으면서도 정작 우리는 그의 불멸의 연인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지 못했다. 어쩌면 단 하나의 인물이 아닌 여러명일지도 모를 그녀 또한 그녀를. 게다가 그의 조카가 그의 아들일지도 모른다는 설은 이젠 설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그 가설을 믿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그렇게 잘 알려진 한 작곡가의 삶에 어떤 흥미로움이  더 있다고 조셉은 그를 모델로 삼았을까. 

그는 "누구를"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무엇을"을 목표로 했기에 성공한 셈이다. 그의 10번 교향곡. 그것을 둘러싼 비밀과 진실에 관해서. 우리는 이쯤되면 고개를 갸웃거리게 된다. 그의 음악에 대해 우리가 아직도 모르는 것이 남아 있다는 말인가. 그리고 책 속으로 고개를 파묻게 된다. 푸욱-.

서른 다섯의 다니엘 파니아구아는 역사음악학 교수이며 베토벤이 전공인 사람이다. 그의 논문은 언제나 베토벤을 향해 열려 있고, 이번 사건 또한 베토벤이 연류된 사건이기에 그는 뛰어들었다. 위험을 감수하고서. 이 소설에서 베토벤이 프리메이슨이였는지 일루미나티였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누구를 위한 작곡이었는지도 중요한 것이 아니다. 10번째 교향곡의 원본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누구의 손에 있는지가 범인을 찾아내는 것보다 더 중요하게 느껴졌다. 

사실 베토벤을 좋아하지 않거나 음악에 조예가 깊지 않더라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장치들이 책 속에는 가득했다. 살인사건이나 사라진 악보를 찾는다는 설정은 목마른 미스터리를 채우기에, 애너그램과 알베르티의 암호바퀴,트리토누스는 지적호기심을 채워줄만 했다.

흔히 음악은 시와 결부시키지만  소설 속에서 음악은 하나의 약속이고 수학이었으며 문학이엇다. 그것이 아주 특별하게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