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죄
미나토 카나에 지음, 김미령 옮김 / 북홀릭(bookholic)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미나토 카나에의 작품을 손꼽아 기다린 이유는 단 하나였다. [고백]의 다음 편.
[고백]이 작가의 최고의 작품이라면 다음 작품들은 시시할 것이다. 하지만 그녀의 필력이 살아있다면 다음 작품들 역시 매력적일 것이다. 라는 이유때문이었다. 결국 내가 기다린 것은 새로 몰두할 작가였다. 그리고 [속죄]가 번역되었다. 

그녀의 속죄는 이언 매큐언의 작품과는 다르다. 어린 소녀의 잘못으로 어긋난 운명을 맞이했던 비운의 연인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전작 [고백]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들려주는 15년 전 범죄는 소녀들이 얽힌 범죄였다. 다만 고백에서는 "재수가 없었을 뿐. 나의 잘못이 아니다. 내겐 그럴 합당한 이유가 있었다"라며 자기합리화를 했던 등장인물들이 풀어내는 "나의 이야기"였다면 속죄에서는 잘못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모두 나의 잘못이야"라고 자책하며 살아온 4소녀의 성장기가 담겨 있다. 그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결과적으로 아무도 잘못하지 않았다. 운명이 잔인하게 엇갈렸을 뿐이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나약한 인간이 있었을 뿐이다.
그런데도 한 명은 살해되었고, 4명은 죄책감을 가지고 살아야했다. 그래서 이야기가 엮어졌다.

에미리는 도쿄에서 왔다. 집앞에 나가면 5분 이내 모든 것이 펼쳐졌던 편리함을 뒤로하고 아무것도 없는 시골로 향해야 했다. 아버지의 전근으로 인해. 그것이 그녀의 두번째 불행의 시작이었다. 첫번째 불행의 시작은 출생의 비밀에 있었고... 그리고 친구들과 함께 공놀이를 하던 중 낯선 남자의 손에 이끌려 나갔다가 성폭행을 당한 채 죽었다. 사건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사에. 집에 있던 프랑스 인형처럼 가녀리고 숫기없던 사에는 에미리의 시체와 남겨졌고 풀어헤쳐진 에미리가 불쌍하게 느껴져 그애의 옷을 간추려 주었지만  이 날의 정신적 상처로 인해 결혼할때까지도 여성이 되지 못했다. 겉만 자란 소녀인채 에미리의 사촌에게 시집갔지만 그는 변태성애자였고 결국 남편을 죽였다.

마키.수영장에서 서바이벌 나이프를 들고 학생들을 향해 돌진하는 남자를 저지했지만 결국 언론은 그녀를 살인자로 몰아가고 있었다. 이 일이 그녀가 학부모 임시총회를 열게 된 계기이며, 그자리에서 15년전부터 자신을 옭아매고 있는 사건에 대한 고백이 이어진다.  도망갈 수 밖에 없었던 자신의 비겁함에 대한 후회와 함께 왜 남자를 저지할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이해를 바라면서...

유카.  형부의 아이를 뱉 유카는 출산직전이다. 어릴적부터 병약하면서도 영악스러웠던 언니때문에 부모의 사랑을 받치 못한 채 자란 유카. 그녀에게 잘해준 어른은 딱 한 사람 그 사건이 일어났을 때 따뜻하게 손잡아주었던 경찰관 아저씨였는데, 그 때문인지 경찰관에게는 무조건적인 호의를 품게 된 유카. 형부가 경찰이라는 사실과 언니에 대한 반항심이 불러일으킨 그 하룻밤이 출산이라는 결과로 다가왔다. 하지만 유카도 결국 속죄의 그물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형부를 죽여버렸으니까.

아키코. 남자같던 아키코에게 에미리는 함께 공유할 것이 많은 친구처럼 보였다. 그러나 그날 죽어버렸다. 비참하게. 그리고 아키코의 인생도 변했다. 히키코모리처럼 은둔생활을 하던 아키코는 오빠의 재혼과함께 조금씩 변하기 시작했는데, 새언니의 딸이 그 이유였다. 그러던 어느날 와카바를 만나러갔다가 그녀는 봐버렸다. 의붓딸 와카바를 성폭행하고 있는 오빠를. 그리고 그는 에미리의 살인범과 겹쳐지면서 아키코는 오빠를 죽이게 된다. 어린날의 트라우마는 이토록 강하게 4명의 머릿속에 잔상으로 남아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에미리 어머니가 밝히는 출생의 비밀과 범인. 존속살인이라는 것 외에도 범행방법이 성폭행이라는 사실은 너무나 충격적이다. 하지만 가장 충격적인 것은 역시 4명이 걸어온 속죄의 세월이었다. 딸을 잃은 어머니가 내뱉은 분노의 저주가 그들의 삶의 행복을 앗아가버렸다. 그리고 한번밖에 살 수 없는 인생을 불행하게 만들어버렸다. 지독하게 꼬여진 만남과 운명들. 누가 잘못한 것일까. 이건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니었다. 사랑하는 여인을 잃은 가난한 남자도, 연인을 잃고 딸을 그 아버지에게 잃은 어머니도, 친구의 죽음 앞에서 비겁했던 4명의 소녀들도 다들 희생자일 뿐이었다. 

[속죄]가 아닌 [고백]이라고 이름붙어도 좋을 미나토 카나에의 후작.
이젠 그녀의 다른 책인 [소녀]와 [N을 위해서]가 서둘러 번역되길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