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중 - 어려울 때 힘이 되는 친구
미야기타니 마사미쓰 지음, 양억관 옮김 / 황금부엉이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나를 낳아준 분은 부모이지만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이다."
관포지교. 이 유명한 이야기를 우리는 알고 있다. 그래서 "관중"이라는 이름 한 자에 끌렸는지도 모르겠다. 어렸을때엔 친구의 소중함을 모르나 삶을 살면서 나를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는 일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알게 된다. 누구나 그럴 것이다.
저자 미야기타니 마사미쓰는 잘 모르는 작가다. 중국 역사에 심취한 역사소설가라는 약력을 읽어보아도 도무지 아는 작가라고 여겨지진 않는다. 그러다가 저서 중에서 [하희]를 발견하면서 고개가 끄덕여졌다. 읽었던 [하희]가 이 작가의 작품이었구나. 라면서.
중국은 그 드넓은 땅덩어리만큼이나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동시대의 역사라 하더라도 워낙 많은 나라들이 세우고 사라지고 했던지라 그들간의 우호관계, 적대관계,회맹관계를 표기하며 읽어나가는 일은 참 복잡하고 어렵다. 그래서 책의 도입부에 제후국관계도를 그려놓은 것은 참 잘 한일인 듯 싶다. 독자의 이해를 돕는 가장 빠른 길이기에.
사실 소설의 시작은 그리 어렵지 않았다. 제나라 대부 포경숙의 셋째 아들 "아"가 유학을 떠나오는 것이었다. 그가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포숙"이다. 포숙은 패일이라는 아버지의 가신과 함께 왔고 결국 관중의 도움으로 좋은 집에서 서식하며 글을 배울 수 있었다. 스승의 수제자에게 배우게 된 그의 앞에 나타난 것은 "관중"이었다. 관중과 포숙의 인연은 이렇듯 사제지간으로 시작된다. 그의 천재성을 믿어주는 아버지의 유복한 아들로 자라난 포숙과 달리 관중은 영웅의 일대기를 거쳐야 했다.
"원수가 죽고 없다는 게 원통하다"라고 울부짖지만 사실 관중의 가장 큰 적은 죽어버린 형이 아니라 살아있는 어머니였는지도 모른다. 영상호족의 차남으로 태어난 관중의 이름은 "이오"였다. 그는 아버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공부했고 예비된 아름다운 정혼녀까지 있었지만 아버지의 죽음이후, 질투에 먼 형의 방탕한 생활로 재물도 정혼녀도 다 잃어버리게 된다. 게다가 형에게만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던 어머니는 그에게 현실의 짐이 되어 그를 끝까지 괴롭힌다. 친어머니가 어떻게 아들을 이렇게까지 미워할 수 있단 말인가.
관중. 그는 직감이 뛰어난 사람이었다. 직감은 때때로 이성이나 지식을 넘나들며 인생의 지표를 세워 준다. 미실에게 통찰력이 무기가 되었다면 관중의 직감은 그가 인맥을 이루는데 가장 큰 재산이 된다.
사람을 너무 좋게 본다. 그것을 뒤집으면 거기에 관중이 있다. 직관도 있고, 능력도 있고, 인품도 훌륭하였지만 관중의 운명은 바람앞의 등불 같은 것이었다. 반면에 포숙은 행운이 함께 하는 사람이었다. 그런 포숙이 관중을 믿어주었다. 그것이 관중의 모든 불운을 덮고도 남을 행운이었다. 나를 알아주는 이와의 인연. 하늘이 이어준 가장 멋진 인연이 바로 그들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