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조선에서 왕의 27명 배출해내는 동안 왕의 숫자보다 그 명수가 훨씬 많았을 왕비들이지만 정작 세자빈 간택코스로 왕비가 된 여인은 단 여섯뿐이었다. 이 숫자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왕비로 산다는 것>>을 읽어보면 알 수 있다. 조선의 국모로 살아간다는 것이 가문의 명예일지는 모르나 역사적으로 볼 때 행복하게 살았던 여인을 찾는 일은 쉽지 않았다. 무엇보다 왕보다 위혐변수가 너무 많았다. 죽는 일도 허다했고 교체되는 일도 다반사였다. 총애를 빼앗기고 살아도 그 자리를 보전해 대비가 되면 그나마 다행인데 그 조차도 쉽지 않았던 거다.



10세 전 후, 삼간택을 통해 선발된 단종비 정순왕후, 연산군비 폐비 신씨, 인종비 인성황후, 현종비 명성왕후, 숙종비 인경왕후, 경종비 선의왕후 외에도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신덕왕후, 원경와후, 소헌왕후, 정희왕후, 소혜왕후, 인목왕후, 인현왕후 등과 그 삶을 잘 몰랐던 인경왕후, 인선왕후 등도 이 책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신덕왕후 강씨나 소헝왕후 심씨처럼 남편인 왕과 정치적 동반자이자 운명 공동체로 한 세상 살다간 왕비도 있지만 내조의 여왕으로 물심양면 남편을 도와 왕을 만들었지만 가문의 몰락이라는 배반의 시간을 견뎌야했던 원경왕후 민씨도 있다. 크게는 남편의 사회적 위치에 따라 격상되거나 격하되기도 하고 정치판의 판세로 인해 폐비가 되는 사례도 있었다. 효순왕후, 단의왕후, 인헌왕후, 공성왕후, 장순왕후, 신의왕후처럼 사후에 추존 또는 추숭된 왕비들이 있는가 하면 정조의 왕비 효의왕후, 영조의 왕비 정성왕후처럼 후사가 없어 존재감이 미미한 왕비들도 있었고. 신분에 발목잡혀 혹은 입에 풀칠하기도 어려웠던 민초들에 비해 부와 명예를 다 거머쥐고 살았을 것만 같았던 왕비들의 삶도 평탄하지만은 않았던 것 같아 씁쓸한 마음을 감출길이 없다. 궁궐담이 감옥 창살보다 더하다 싶다.


조선의 마지막 대비는 드라마로 귀에 익은 철인왕후 김씨며 조선의 마지막 왕비는 순종의 계비 순정왕후 윤씨다. 대한제국이 멸망할 당시 옥새를 치마에 감추었던 일화나 사후 순종, 순명왕후와 함께 묻혀 동봉삼실이 된 것도 <왕비로 산다는 것>을 통해 알게 되었다. 미국으로 불법 반출되었다가 돌아온 문정왕후 상존호 금보, 신덕왕후 추존 옥책함, 국보 제249호인 동궐도 등을 전시실이 아닌 책으로나마 볼 수 있었던 점은 코로나 시국에 가진 작은 즐거움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